02a12g31
[환경일보 조은아 기자] 이번 태풍 ‘곤파스’가 한반도를 강타하고 4시간 만에 물러났다. 서산지역의 경우 관측개시 이래 최대 순간 풍속이 41.4(m/sec)를 기록하는 등 한반도에 큰 바람을 일으켰다.

 

최근 몇 년 일어난 폭우와 폭설 등 매번 ‘늑장대응’과 ‘부실한 재난대처 시스템’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설마’했던 이번 태풍 곤파스도 ‘역시’였다. 태풍이 한반도로 상륙하면서 제트기류 등으로 속도가 6시간이나 빨라졌으나 경보발령이 늦어 교통상황 안내 및 서울·경기지역의 등교시간 연장 지침도 늦어져 직장인 및 학생·학부모들은 혼란에 빠졌다. 기자도 지하철 운행중지 구간을 피해 2시간에 걸쳐 출근했더니 사무실 근처 전신주가 쓰러져 대규모 정전 사고가 발생, 전기 및 인터넷이 끊기는 등 태풍이 여러 가지 모습으로 우리에게 피해를 주고 있었다.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기관은 매번 재해 예방 시스템 등을 구축하겠다며 호언장담하지만 막상 재난이 발생하고 나면 우왕좌왕하며 사후약방문식 처리를 되풀이하고 있다. 때문에 선진국형 재난 방지 시스템 구축은커녕 오히려 천재지변이 아닌 인재로 변질되곤 한다.

 

이번 태풍의 경우 비가 적고 짧은 시간에 지나가 인명피해가 그나마 적어 다행이었지만 언제 어떤 모습의 또 다른 자연재해가 나타날지 모른다. 기후변화로 인해 재해도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되고 있다. 작은 기초 안전부터 시작해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적어도 이미 가로수가 뽑히고 있는데 그제야 태풍경보가 발령되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을까.

 

lisia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