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4분기 재난방송 지연 185건, 지역 MBC·SBS 79% 차지

[환경일보] 김경태 기자 = 2016년 9월12일 경주 지진 이후 1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골든타임을 좌우하는 재난방송 실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자유한국당 김성태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방송사들은 지난 9월 경주지진 당시 늑장 재난방송으로 질타를 받았음에도 지난 3~4분기에 185건의 재난방송을 30분 이상 초과해 송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2건의 TV늑장방송 중 지역 MBC와 SBS의 네트워크를 이루는 지역민방의 늑장 편성 비중이 79.3%에 달했고, 이 가운데 지역 MBC가 80%를 차지하는 등 안전 불감증이 만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주 지진 이후에도 방송사들의 늑장 재난방송이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경주 지진 이후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진대응 긴급 재난방송 매뉴얼을 만들어 자막 크기와 내용, 송출시간 등을 결정했다. 하지만 지역지상파는 누락분에 대한 과태료 처분을 반복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 말 실시한 방송재난관리계획 지도점검 역시 서울에 본사를 둔 지상파와 종편 등 10개사에만 그쳤을 뿐, 지역 지상파의 늑장방송 대응방안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KBS는 본사와 지역국이 연동된 반면, 지역 MBC와 SBS네트워크의 지역민방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으로부터 재빨리 사실을 전달받아 재난방송을 내보내기에는 어려운 구조다.

현재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통합재난망서버를 통해 내용을 전달받고 있다. 특히 지진자동자막송출시스템을 활용해 지진 등 재난방송의 요청 시 방송사에서 자막작업을 거치지 않아도 바로 연동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러나 수혜를 받는 방송사는 중앙 지상파 및 종편 등 10개사에 그치고 있으며 본사와 지역국이 연동되지 않은 MBC와 지역민방에 전달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부처 편의에 따른 업무 분장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현재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있지만 방송사 중 가장 많은 시청률을 차지하는 지상파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소관이다.

이에 따라 과기부와 방통위가 함께 참여하는 중앙재난방송협의회 편성에서 벗어나 컨트롤타워를 한 부처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성태 의원은 “재난방송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빠르고 신속하게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