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전문가·국민 협력 통한 균형적 관리 필요
환경교육 강화로 미세먼지 인식 역량 갖춰야

[프레스센터=환경일보] 김은교 기자 =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대응 방안으로, 효율적인 정부대기정책을 통한 대기배출관리·대기과학 분야 미래예측 능력·전문가들의 사회적 역할·생각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한 합리적 국민행동이 실현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3일 ‘미세먼지 이슈 대응 과학적 진단과 해법’을 주제로 열린 ‘제9차 KEI 환경포럼’에서 발제를 맡은 KIST 배귀남 미세먼지사업단장은 우리 사회에 닥쳐 온 미세먼지 문제를 ‘겪어내야 나아질 수 있는 성장통’에 비유하며 미세먼지 문제의 현주소와 대응 방법을 설명했다.

지난 13일 '미세먼지 이슈 대응 과학적 진단과 해법'을 주제로 제9차 KEI환경포럼이 개최됐다. <사진=김은교 기자>

국민 의견 반영된 배출가스 규제 정책 필요
배귀남 단장은 먼저 정부·시민 간 협력을 통해 미세먼지 문제를 효율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우선 대기배출관리는 정부 정책으로, 생활 관련 부분은 개인적 실천을 통해 균형적으로 관리돼야 한다고 전했다.

특히 정부-기업 주도로 이뤄졌던 배출가스 규제 정책에 국민이 소외돼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고는 국민들의 목소리를 담은 과학적 자료가 정책에 반영돼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 개개인 역시 합리적인 사고의 직접적 실천을 통해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미세먼지 문제는 우리 국민 모두가 피해자이자 가해자이므로 정부와 개인이 밸런스를 맞추는 방향으로 생각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대기과학 융성을 위한 관심과 관련 전문가들의 사회적 역할도 강조했다.
경제적인 이유로 소홀시 되는 대기과학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며, 미세먼지뿐 아니라 기후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분야 역시 바로 대기과학이다.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미래예측능력을 키울 수 있는 대기과학 발전에 많은 관심과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입장인 것이다.

환경 문제의 본질과 상식의 기준을 전반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환경 전문가들의 사회적 역할도 굉장히 중요하다. 미세먼지를 가십거리 정도쯤으로 생각하지 않고 국민적 고민거리를 제시해 줄 수 있는 국민 메시지 창구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말도 덧붙였다.

끝으로 배 단장은 환경보건정책의 과학적 지식과 관련 기술의 혼재성을 언급하며 과학과 기술의 적절한 통합으로 미세먼지 문제 관련 대책을 정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발제에 이어 진행된 지정 및 종합토론에서 각계 전문가들의 미세먼지 관련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됐다. <사진=김은교 기자>

환경교육에 미세먼지 내용 강화해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용순 원장은 ‘환경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미세먼지 문제의 현 주소를 짚어냈다.

현재 환경교육은 초등학교에서 환경보호를 강조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학업 부담이 늘어나는 중·고등학교 과정에서는 환경 과목을 선택하는 비중마저 급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원장은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 강화가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해법이라고 전하며 환경교육을 기반으로 미세먼지 문제 교육을 강화해 국민들에게 미세먼지에 대한 정확하고 바람직한 인식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미세먼지 관련 인재양성과 환경 공공기관 직원의 역량 강화, 그리고 환경 산업에 종사하는 직원의 전문성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세먼지는 국민 실생활 안보 문제
환경일보 김익수 대표는 국민 안전과 맞닿아 있는 미세먼지 문제를 ‘안보’에 비유하며 국민 실생활 관점에서 문제의 현황과 시급성을 짚어냈다.

김 대표는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는 정책이 과연 진정성 있는 정책인지 반문한 후 마스크 착용·외출금지와 같은 임시방편적인 대책 이외에 국민에게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정권 원장은 공기를 통해 확산되는 대기오염의 특성상, 발생원을 줄이지 않으면 막을 수가 없는 것이 미세먼지라고 말하며 현재는 마스크·공기청정기 등 개인보호장비 외에 대응 방법이 없다는 아쉬움을 토로했다.

정 원장은 미세먼지 감축 목표가, 얼마나 줄여야 하는지와 같은 ‘수치’가 아닌 ‘국민 건강 안전’에 있음을 정확하게 명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하며, 향후 우리나라 대기환경 기술수준의 발전과 축적된 연구결과를 통해 미세먼지 문제 개선 역시 충분히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함께 나타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