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역사 공기질 체계적관리 당연..예산배정 시급

실내오염물질은 폐 전달율이 실외오염물질보다 약 1000배 높다. 오염된 실내공기는 천식 등 환경성질환을 유발하며 조기사망의 첫째 요인으로 꼽힌다.

지하철은 밀폐된 좁은 공간에 많은 이용객을 수용하다보니 실내공기가 쉽게 오염되곤 한다. 전국 24개 지하철 노선, 658개 지하역사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1017만 명에 달한다.

서울 노선이 307개 역사 757만명, 수도권 전체로 보면 431개 역사에 871만명이다. 부산이 114개 역사에 93만명, 대구는 61개 역사에 33만명, 대전은 22개 역사에 11만명, 광주는 20개 역사에 5만명이다.

지하역사의 미세먼지(PM10) 자가측정 결과를 보면, 서울도시철도의 경우 2016년 77.7㎍/㎥이었는데 2017년에는 83.1㎍/㎥로 증가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다른 지역들도 모두 미세먼지가 증가했다. 지자체의 오염도검사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은 개통한 지 44년이 지났고, 하루 200만명 이상 이용하는 2호선도 37년이 넘어 시설물 노후화가 심각한 상태다. 설상가상 지하철공사는 재정 악화로 간신히 현상만 유지하는 수준이다.

지하역사 실내공기 오염개선에 대해 예산당국의 비협조로 환경부는 그동안 실질적인 활동을 하지 못했다. 2018년 예산엔 아예 이름도 못 올렸다.

환경부가 미세먼지 오염원 차단, 환기설비·필터 교체, 터널 미세먼지 제거 등 미세먼지 저감사업에 필요한 152억원을 기획재정부에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환경부가 지하역사 미세먼지를 엄격하게 관리하겠다고 나서 시선을 끈다. 먼저, 미세먼지 관리체계가 강화된다. 올해 상반기까지 미세먼지(PM10) 기준을 강화하고 미세먼지(PM2.5) 기준은 신설한다.

내년부터는 오염도가 높고, 유동인구가 많은 주요 역사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자동측정기기 설치도 의무화된다.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온 연 1회 자가측정 데이터 대신 국민들이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또한, 가칭 ‘실내공기질 관리사’ 제도도 도입한다. 시설물 공기질 관리계획 수립 및 집행, 공기질 모니터링, 환기설비 유지 관리 등 업무를 담당할 전문 인력을 양성·배정한다는 계획이다.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고 환기설비를 최적 가동하는 스마트 공기질 관리시스템도 도입한다. 현행 200㎍/㎥ 인 지하철 객실 내 미세먼지(PM10) 권고기준을 환경부령으로 상향조정하고 기준치도 강화한다.

이 외에도 터널 내 미세먼지 발생원제거, 터널 구간 오염도 모니터링 강화 등도 함께 추진된다. 기대되는 내용들이다.

그런데 결국엔 예산확보가 관건이다. 환경부가 더 많이 노력해야겠지만, 기재부와 국회예산처 역시 상황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지하고 합당한 예산을 배정해야 한다.

지하철을 단순히 교통수단으로 볼 것이 아니라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생활공간으로 인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