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있는 보상하고 개발전과정 조사해 배울건 배워야

지열발전은 화석연료 발전과 달리 온실가스나 오염물질이 거의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일단 시설을 갖추면 24시간 전기 생산이 가능해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반면 초기시설 투자비용이 크고, 설치 환경상 제약이 있다. 가장 큰 변수는 지하에 물을 주입하고 빼는 과정에서 지반이 약해지고 단층에 응력이 추가돼 지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16년 12월15일 포항지열발전소에 물 3700여톤이 주입되면서 여러 차례 작은 지진들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결국 2017년 11월 15일 포항 북구에서 진도 5.4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 인명피해, 건물붕괴 등 큰 피해를 입혔고, 1300여명의 이재민이 발행했다.

당시 여러 가능성이 조심스레 제기됐지만, 가장 힘을 얻는 주장은 포항지열발전소가 그 직접적 원인이라는 것이었다.

화산활동이 활발한 지역의 경우 지열로 덥혀진 공기를 지하 얕은 곳에서 이용해 터빈을 돌리기가 수월하다. 반면 포항지열발전소는 화산 지대가 아닌 곳에 건설하다보니 인공저류층형성(EGS, Enhanced Geothermal System) 방식을 이용했다.

땅속 깊이 4km 이상을 파고 주입정을 통해 차가운 물을 지열 180도의 화강암 틈 사이로 주입해 발생한 수증기를 끌어올리면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최근 정부조사연구단은 포항지열발전소에서 하루 최대 900톤의 물이 주입되면서 수압을 견디지 못한 단층이 어긋나 지진이 발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해외 지열발전소에서 발생한 지진보다 포항의 경우 규모가 헐씬 크다는 이유를 들어 다른 의견을 내는 전문가들도 있다. 물 주입이 직접적 원인이라기 보다는 동일본대지진, 경주지진으로 응력이 최대화 된 상태에서 마지막 촉발요인이 됐다는 것이다.

여하튼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와 민관이 390억원 넘게 투자한 포항지열발전소를 영구 중단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앞으로 주민보상과 더불어 지열발전소의 폐기 및 주변지역 안정화가 큰 과제로 남게 됐다.

에너지자원이 턱없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지열발전 같은 도전은 매우 중요한 시도였다. 지열발전으로 인한 지진발생 등 문제를 사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며 계속 시도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에너지다변화 정책과 투자는 정권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진행할 과제다. 치밀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최선의 안을 도출하고 국민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면서 협조를 구해야 한다.

과거사를 규명하는 것이 반드시 맞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번 포항지열발전사건의 경우는 다르다. 처음 제안이 나온 이후 지열발전 개발 전과정을 철저히 조사하고 책임질 것은 책임지고, 남길 것은 남겨야 한다.

전기 공급 한번 못하고 폐기될 391억원 짜리 지열발전소와 수조원대가 될 수 있는 막대한 손해배상의 교훈에서 배울 것은 배워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