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매개충 방제 지도·진단 방법 확립해 대응

벼남방검은줄오갈병을 전염시키는 흰등멸구 <사진제공=농촌진흥청>

[환경일보] 이채빈 기자 = 농촌진흥청은 ‘벼남방검은줄오갈병’의 매개충이 되는 흰등멸구의 중국 내 발생 밀도가 크게 늘면서 피해 예방을 위한 대비를 15일 당부했다.

벼남방검은줄오갈병은 2001년 중국에서 발병 후 확산해 2010년, 일본에서도 확인됐다. 중국에서 날아드는 흰등멸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이유다.

벼남방검은줄오갈병 발생 사진 <사진제공=농촌진흥청>

농진청은 아직 국내에 발생하지 않은 벼남방검은줄오갈병 피해를 막기 위해 ‘벼 바이러스 동시 진단 키트’를 이용한 감염 초기 유전자 진단법을 개발했다. 벼남방검은줄오갈병의 유전자 진단법을 활용하면 피해 확산도 막을 수 있다.

2017년 우리나라에서 바이러스병의 일부 유전자가 확인된 이래 국내 발생에 대비해 해마다 전국적으로 조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은 ‘벼줄무늬잎마름병’, ‘벼오갈병’, ‘벼검은줄오갈병’ 3종이다.

농진청은 이밖에도 새로운 벼 바이러스병에 대비해 진단법을 개발 중이다.

벼가 잘 자라지 않거나 누렇게 변하는 등 증상이 발견되면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에 진단을 의뢰한다.

박기도 농진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장은 “기후변화로 새로 나타나는 벼 바이러스병의 위험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바이러스병 방제 기술을 개발하고,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해 병해충 예찰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