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부터 서울시는 새로운 교통정책을 내세우며 빠르고 편리한 대중교통문화를 펼치겠다는 포부로 신개념 지하철과 버스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했다. 하지만, 실행 첫날부터 많은 혼선이 빚어졌다. 첫날(1일) 신교통카드(티머니)도 작동이 되지 않아 시민들은 불편을 겪어야 했다. 하루아침에 바뀐 버스 노선은 젊은 사람도 찾기 힘들 정도로 복잡했으며, 또한 깨알만 한 글씨로 버스 노선 표시가 되어 있고, 정류장이 어디인지 도대체 모른다고 한탄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이곳저곳에서 터져 나왔다.
하나의 정책이 바뀌는 데는 혼란을 빚게 마련이지만, 그 혼선을 최소화 할 수 있게 진행하는 것이 정부 정책의 순서일 것이다. 시민들은 하나같이 급작스런 업무 추진으로 이런 혼선을 만들어 냈다고 서울시에 울분을 토하고 있다.
정책이 과연 실적위주의 정책인지 시민들을 위한 정책인지 요즘은 분별이 되지 않는다.
업적하나 만들겠다고 하기엔 시민들의 불편과 고통이 너무 크게 밀려오는 것 같아 안타깝기만 하다.
경기도는 서울시 정책에 무관하게 현행교통요금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은 거리구간요금 혜택도 제대로 받을 수가 없는 형편이다. 경기도에서 서울시 버스로 갈아 타봐야 요금 정산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며칠전 이명박 서울시장은 시민들이 버스정책에 혼선을 빚는 이유를 “한국사람들은 닥쳐야 일을 하지 도대체 미리 연구를 하지 않는다”며 “서울시와 각 구청이 수차례 안내문을 보내고 언론에도 여러 번 보도됐지만 이를 쳐다보지도 않고 그냥 버스를 타러 와서 문제”라며 시민탓으로 돌렸다. 이러한 발언으로 서민들의 원성은 극에 달하고 있다. 민심이란 얻기는 힘들지만, 잃기는 매우 쉽다.
‘잘되면 내 탓, 잘못되면 남 탓인가’ 시민들의 진정 무엇을 원하고 바라는지 핑계와 책임회피는 그만두고, 어려운 경제난속에 다시 한 번 뒤돌아보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양영해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