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에너지 종류에서 옥수수·사탕수수·유채꽃과 같은 ‘바이오 매스’, 미생물 발효로 만든 ‘바이오 에탄올’, 식물성·동물성 지방에 알코올을 넣어 만든 ‘바이오 디젤’이 시장규모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바이오부탄올(Biobutanol)도 이목이 집중된다. 1981년 남아프리카의 생산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박물관으로 갔던 기술이다.

이처럼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선점기술 확보는 선진국과 석유·곡물·화학 다국적 기업들이 눈독을 들이며 사실 엄청난 돈을 투입 바이오 기술 확보 전쟁에 돌입했다.

최근 ‘바이오에너지 포럼’이 국내에 결성했다. 결성 취지는 바이오에너지가 농촌 빈곤 해결, 자유무역협정 대처와 신재생에너지로 활용 가능성을 알리기 위해서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현재 태양광·풍력 등 에너지에 주력해왔다. 반면 바이오에너지는 아직까지 관심 밖인 반면 외국의 경우 바이오에너지는 실용화 단계까지 왔다.

과거의 지구촌 에너지 산업은 검은색이었다면 21세기 산업은 흰색 에너지다. 이는 바이오에너지를 지칭한다.

유럽연합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중 바이오에너지가 50~60%를 점하고 있다. 우리와 정반대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난 걸까.

에너지는 인간과 산업의 생명 뿌리라는 것을 구차하게 설명하지 않아도 될 정도지만 우리 정부는 바이오에너지 산업에 주력할 자본력 취약 때문에 주춤해왔다.

투자를 머뭇거리고 있는 이유도 바이오에너지가 실질적으로 검증된 부분이 아직은 없다는 입장은 충분히 납득이 간다. 다만 그렇다고 정부의 의지와 대기업 에너지 사업차원에서 바이오에너지 개발 시책은 바이오에너지 개발국들과 크게 비교된다.

개발국 선두주자인 독일·덴마크·브라질 경우 바이오에너지 산업에 총력을 펴고 있는 이유가 그만큼 바이오에너지의 부가 가치성이 높다는 진단의 따른 국책으로 보기 때문이다.

실례로 독일은 전체 수출액 중 환경산업 수출이 15%를 차지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무역흑자가 원유수입액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라면 우리의 환경산업은 어느 선까지 손을 뻗고 있는지 짐작이 갈 정도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환경부와 산자·농림·과기부에서 관련된 타당성 공론화는 물론 충분한 예산과 인력을 확보, 기업과 공조해 생산성 가치를 준비하는 대안 제시가 절실하다.

비록 농진청이 바이오에너지 연구에 겨우 닻을 올렸지만 늦어도 한참 늦은 것이다. 바이오 연료(Biofuel) 수요 폭발은 불 보듯 뻔하다.

고유가 시대를 이겨 낼 바이오 연료 확보가 국가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향후 새로운 바이오에너지 산유국 탄생을 예견할지도 모른다.

최근 바이오에너지 확대를 모색하는 미국 뉴욕에 국제협력기구도 창설했다. 미국·유럽·중국·브라질 등 주요 경제권들이 참여한 에너지 협력기구다.

이는 곧 ‘바이오 외교’ 전이 우리에게 오일 쇼크와 같은 바이오 쇼크가 밀려 올 것이라는 예고다.

일부 에너지 전문가들은 바이오에너지 산업이 ‘대안’인가 ‘재앙’인가에 대한 논란도 없지 않다. 다만 대세가 바이오연료로 바꾼다는 세계 에너지 정책이다.

일부 환경단체들이 바이오연료가 오히려 환경 재앙을 불러올 수도 있다지만 앞날이 훤히 보이는 시장선점을 빼앗기는 뒷북 칠 우리 정부가 아니길 간곡히 바란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