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총생산액 20조원대 목재시장 'FSC' 해결해야
산림청 제주와 홍천국유림지에 인증 관련 유도

세계 각국이 원시림의 벌목을 막고 조림 및 육림을 통해 지속가능한 산림자원을 확보 전쟁 속에 향후 나무를 심는 것 못지않게 잘 가꿔 이를 순환적 자원으로 활용하는 국가적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내 총생산액 20조원대에 달하는 목재 전후방산업에‘국제산림인증(FSC)’ 제도가 하루 속히 정착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 국제산림인증 제도
이런 지적은 FSC 인증이 없으면 선진국 시장 수출이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이, 목재, 가구, 수출인쇄, 임산물(버섯·산채·숯) 생산업이나 목자재를 쓰는 생활용품 제조업 전반에 걸쳐 해당된다.

유럽 및 북미권과 오세아니아 시장에서는 비관세 무역장벽의 하나로 제2의 RoHS(유해물질 사용제한) 규정이나 ISO(국제표준화기구)처럼 글로벌 경영인증 기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관련업계의 분석이다.

현재 G11을 비롯 회원국은 국가·공기관·기업 등에 FSC 인증제품에 대한 구매를 권고하는 상황과 환경경영 인증(ISO14001) 외에도 FSC 인증을 추가로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국내 한국제지연합회 및 합판협회 등은 “아직은 권고단계지만 목재로부터 탄생한 모든 주·부산물을 원료로 하는 산업에 향후 하나의 강력한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입법화될 가능성도 짙다”고 밝혔다.

이들은“바이어들이 FSC인증 제품을 요청하고 있어 인증을 받을 경우 수출 증대효과도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FSC는 국제 비정부단체인 산림관리협의회가 산림자원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지난 93년 만든 산림경영인증시스템이다.

국내에서는 산림청이 지난해 제주와 강원 홍천국유림지에 대해 인증을 받은 데 이어 관련산업에 대한 인증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FSC는 산경경영인증과 감독사슬망(CoC) 인증을 진행하는 기업들은 생산에서 가공 유통까지 전 단계를 추적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먼저 갖춰야 한다. 2006년 말 현재 FSC 인증을 받은 목재 연관업체는 전 세계 4300여 개사에 이른다.

그러나 국내 관련업계의 인증은 저조한 단계. 수출비중이 50%에 달하는 국내 인쇄용지업체들이 이같은 인증을 미룰 경우 적잖은 타격을 입을 것이란 우려되고 있다.

최근 무림페이퍼가 처음으로 FSC 및 CoC 인증을 획득과 한솔제지·이엔페이퍼 등 대형 업체가 인증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목자재업체인 동화기업은 말레이시아 3개 법인이 모두 인증을 마친 상태.

제지업체의 경우 FSC 인증 펄프를 원료로 사용하고 생산한 뒤 제품에 대해서도 인증을 받아야 완제품에 로고를 부착할 수 있다. 수출인쇄업 역시 인증받은 종이를 쓴 제품을 통해 인쇄를 하고 인증마크를 받아야 수출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