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산림인증(FSC)’ 정착 민관학연 함께

산이 없는 세상은 생각할 수 없다. 우리나라 산림자원을 화폐가치로 환산한다면 약 70조원에 달한다.
산림자원은 확실한 산업 군으로 분류돼 있다. 우리 산림자원이 황무지에서 짧은 기간에 울창한 산림보국으로 변모한데는 나무심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전쟁 이후 우리 국토에 나무심기만 무려 100억 그루 정도다.

그러나 목재부분은 아직도 상당한 부분이 외국산 목재들이 수입되는 실정이다. 국내 산림을 자원화 하는데 많은 시일이 걸리는 것도 풀어야 할 과제다.

우리나라 산림자원에 가장 큰 복병은 바로 재선충병에 대한 방재 시스템으로 재선충병이 국내 첫 발견된 지난 1988년 이후 올 5월 국립수목원 근처 잣나무까지 번진 것을 보면 국내 산림자원화에 따른 갈 길은 멀고도 멀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산림자원화가 사업의 밑거름인 목재 가구 인쇄 임산물 제지가공 업체들의 ‘친환경 경영’에 대한 새로운 인식 확산이 화두다.
이들 주요 업체들은 친환경 목재가공 등과 생산시설을 활용한 제품을 앞 다퉈 선보이는가 하면 각종 환경 관련 인증을 획득 환경친화적인 기업으로 이미지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런 분위기의 도화선이 바로 ‘국제산림인증(FSC)’ 이다. 한미FTA와는 무관하지만 국내 총생산액 20조원 대에 달하는 목재 산업에 ‘FSC’이 발등의 불이 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분명한 것은 이 산림인증 마크 하나로 인해 종이, 목재, 가구, 수출인쇄, 버섯, 숯 등 생산제조업 전반에 걸쳐 해외 수출이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유럽 및 북미 등 시장에서는 비관세 무역장벽의 하나로 제2의 RoHS(유해물질 사용제한) 규정이나 국제표준화기구처럼 글로벌 경영인증 기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예측이다. 사실 시장 흐름이 이런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제품 역시 사람중심의 눈높이가 점점 전문화돼 선진국에서는 철저한 사전 검증 절차가 없는 경우 어떠한 제품이든 거부할 수 있는 행사를 누릴 태세다.
G11을 비롯한 선진 각국은 정부 공기관 기업 등에 FSC 인증제품에 대한 구매 권고는 자연스러운 상황으로 환경경영인증(ISO14001) 외에도 FSC 인증을 추가로 요구한 실정이다.

반면 국내에서는 “목재로부터 주 부산물을 원료로 하는 산업에 하나의 강력한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입법화될 가능성도 농후하다”는 경고성 견해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의 FSC인증 제품 요청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인증을 받을 경우 수출 증대 효과는 오히려 높을 수 있다.

FSC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획일적인 제도인지는 아직 미지수다. 다만 산림청이 작년 제주와 홍천국유림지에 대해 인증을 내 준 뒤 관련 산업에 대한 인증 확대의 분위기다.
국내 관련업계의 인증은 미미한 수준이지만 수출인쇄 경우 수출이 50%에 달해 인증을 미룰 경우 적잖은 타격도 예상된다.

세계 각국이 원시림의 벌목을 막고 조림 및 육림을 통해 지속가능한 산림자원을 확보가 곧 국가경쟁력이 된다는 것은 기정사실화됐다.
따라서 앞으로 나무를 심는 것 못지않게 잘 가꿔 순환적 자원으로 활용해 세계가 인증하는 산림보국이 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지원 시스템이 필요한 때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