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부양' 허울 속 환경피해 가중

상수원 오염 등 급속한 확대 우려


며칠 전 집권말기를 맞고 있는 참여정부가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서비스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명목으로 농지를 반값 골프장으로 만들겠다는 정책을 내놓았다. 그 이름에 걸맞게 지극히 금전적인 면만을 고려한 결정이 아닐 수 없다.

수도권 소재 골프장 18홀 평균 이용료는 19만원으로 이를 10만원 밑으로 끌어내린다는 반값골프장. 물론 외국으로 빠져 나가는 골프여행객들의 발길을 국내로 돌리고, 농가수입까지 늘린다는 정부의 발상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환영받을 것이다.

하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단연코 환영받지 못할 처사로 평가된다. 또한 요즘 어떠한 정책을 추진하던 항상 입방아에 오르는 것이 '지속가능성'임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그림자처럼 '친환경'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이를 볼 때 환경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반값골프장 정책은 시대적 조류인 '지속가능성'에도 반하는 결정이다.

게다가 농지를 골프장으로 활용한다는 재정경제부의 방침에 농림부가 '투기자본에 의해 악용될 수 있다며 골프장보다는 농산물 가공공장이나 유통시설을 건설하는 방안이 농민들을 돕는 것'이라는 견해를 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경제를 살리고 농민을 살리는 경기부양책이 될 것이란 것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반응이 불거지고 있다.

여기에 전문가들도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지고 있는 현 골프장 건설 정책은 골프장 운영주들 간의 치열한 경쟁을 야기시키고 있고, 평균 이용료를 낮추겠다는 반값 정책은 환경관리비용 지출을 현저히 낮춰 결국 오염을 부추기게 될 것이라 지적하고 있다.

물론 반값 골프장에 찬성하는 이들은 '최소한의 환경훼손을 전제로 한 친환경적인 골프장을 만들면 되지 않겠느냐'며 반문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우리가 치뤄야할 환경적 대가를 간과한 말이다.

골프장 건설로 인한 생태계 파괴는 물론이거니와 골프장 운영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농약이 환경파괴를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것은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다. 여기에는 어느 누구도 반문을 달지 못한다. 골프장에서 살포된 농약이 빗물에 흘러내려가 주변의 농경지와 계곡수를 오염시켜 주민들의 식수원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는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누가 장담하겠는가.

얼마 전 환경부는 지난해 국내 골프장 244곳에서 사용된 농약은 259.4톤에 달하고 이 수치는 2005년에 비해 대략 10%가 증가한 것임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더불어 이중 97곳의 토양과 잔디에서 농약성분이 검출됐고, 이들 중 고독성 농약성분이 검출된 곳은 행정 조치했음을 전한 바 있다.

과연 반값 골프장에서는 이러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잔디를 잘 관리할 수 있을까. 답은 분명 'NO'다. 맹독성 농약, 상수원 오염, 지하수 고갈 등이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값 골프장의 환경적 피해를 '경기부양'이란 허울로 덮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명심 또 명심하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