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경부 소속 공공기관장들이 줄줄이 물러날 의사를 밝혔다. 참여정부 시절 임명된 이들은 임기가 남은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노골적인 사퇴 압박을 받아왔다.

현재 환경관리공단 손주석 이사장,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장준영 사장, 국립공원관리공단 박화강 이사장 등이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사퇴할 의사를 표방했다.

이들의 퇴진은 엄밀히 말해 스스로 자진해서 물러나는 모양새가 아니다. 분명 정황상 어떤 방식으로든 강압적인 부분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새 정부의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필요한 조치임을 밝히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상황이 이러하자 최근까지 소속 공공기관들의 분위기가 저마다 뒤숭숭하다. 각 기관 홍보 관계자들은 공식적인 입장을 물어보는 기자의 질문에 이야기를 들리고 있지만 명확하게 결정된 것이 없기에 공식적인 입장을 밝힐 단계가 아니라는 답변만 전할 뿐이었다.

분명 어수선한 분위기를 자아내기 충분하다. 여기에 여타 공공기관인 한국환경자원공사, 친환경상품진흥원, 한국환경기술진흥원 등도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분위기는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 대목에서 기자의 궁금증은 ‘그렇다면 뒤를 이을 후임자는 누구일까’에 쏠린다. 현재로선 딱히 떠오르는 인물들이 별로 없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 자신이 실용주의 노선을 확고히 하고 있는 만큼 관료 출신보다는 참신한 인물들 특히, 관련업계 쪽에서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문가들이 포진할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을 만하다. 물론 관료 출신이나 내부승진으로 후임자가 결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지만 돌아가는 정황으로 봐선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 공공기관장들의 후임이 결정되고 나면 전면적인 인사는 아닐지라도 후속조치로 이사급들에 대한 인사가 자연히 도마 위에 오를 것이다. 참여정부 시절 임명된 이사들 중 정치성이 짙었던 사람들이라면 분명 사퇴 압박이 가해질 것이다. 혹시 지금도 스스로 물러날 것을 종용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통상적으로 환경부 소속공공기관 이사들이 임명될 경우 환경부장관뿐만 아니라 대통령에게까지 보고가 들어간다.

한편 무릇 대기업 대리급만 해도 음성적으로 누구 라인이라는 말들이 공공연히 들리기 일쑤다. 이 같은 줄타기는 사회 어딜 가도 만연하다. 비단 사기업들만의 모습이라 보진 않는다. 공공기관 역시 알게 모르게 파벌이 형성되긴 마찬가지다.

이런 일련의 상황들이 씁쓸함을 자아내는 것은 그동안 꿋꿋하게 잡고 있던 동아줄이 사라지게 되면 환경부 소속공공기관 사람들은 또 다시 다른 튼튼한 동아줄을 찾아 이동할 것이라고 보이기 때문이다.

<박순주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