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 정확도 대한 잇단 비난 면하려는 자구책
국내 전문가 양적·질적 수준 높이는 것 급선무


4주째 주말예보가 연이어 빗나갔고 국민들은 기상청 예보를 신뢰할 수 없다며 비난했다. 왜 이토록 기상청 예보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것일까. 5일 근무제의 정착으로 여가를 선용하는 국민이 늘었고 날씨에 의해 좌우되는 산업도 많기 때문이다.

국내 한 연구진의 보고서에 따르면 날씨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을 국내총생산(GDP)의 52%로 분석하고 있다. 날씨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건설업, 소매업, 금융보험업 등 날씨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산업 분야는 날씨정보의 활용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가치가 연간 3조5000억~6조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니 일반 국민이든 기업이든 날씨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 국민이나 기업이나 기상청 일기예보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당연지사다.

최근 기상청의 잇단 ‘오보 사태’와 국민의 기상서비스에 대한 개선요구가 높아지자 기상청은 다급하게 여러 방책들을 내놨다. 먼저 영국 등 기상 선진국으로부터 최신 수치예보모델을 도입해 2010년부터 운영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준비하고, 일반 국민에 대한 기상서비스는 기상청이 담당하되 레저와 유통업, 건설업 등 날씨에 민감한 특정 수요자에 대한 기상서비스는 민간 기상사업자가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한창 기상청이 공격받고 있을 때 내놓은 방안이라 임시방편이나 졸속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물론 최신 수치예보모델이나 슈퍼컴 3호기 도입, 민간 기상사업자 제도 등은 기상청이 추진하고 있던 사업들이나 외국 기상 전문가 도입이라는 다소 황급히 카드를 꺼내 든 것은 실수가 아닌가 싶다.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최근 기상예보가 한국보다 앞선 미국, 영국, 일본 등 3국에서 전문가를 영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외 예보전문가에게 예보관의 문호를 개방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외국 기상전문가가 국내 지역 예보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이 얼마나 될지는 의문스럽다. 이 발상은 일단 국내 기상 예보전문가의 실력을 믿지 못하겠다는 발상이 기저에 깔려있다. 국내 환경을 손바닥 보듯 훤히 아는 사람이 더 기상 예보를 잘 할 수 있다. 기상 예보는 과거 축적된 기상 정보와 예보관의 경험도 중요하다. 해외 기상 전문가도 이 부분에 대해 한국 내 기상 전문가가 더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외국 전문가를 도입해 위기를 모면해 보겠다는 얄팍한 발상 대신 국내 전문가를 양산하고 예보 판독 시간을 늘리고 예보관의 수를 늘리는 등 본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외국 기상전문가를 영입한다면 그들이 직접 지역예보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예보관과 토론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선용해야 할 것이다.

국내 기상 예보는 그리 뒤처지는 수준이 아니다. 국민 정서나 산업 영향력 등 다양한 요소로 매년 여름이면 더 비난을 받는 기상청이지만 실질적인 지원은 너무 부족하지 않은가 들여다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