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강은미 기자] 스마트폰 해킹도 일반 컴퓨터 해킹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용자가 출처가 불분명한 e메일을 확인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것이다. 악성코드는 스마트폰 해커들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e메일 등을 통해 유포된다.

 

일단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스마트폰 이용자의 개인정보 등이 해커에게 전송되고 해커들은 이같은 정보를 이용해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스마트폰 결제를 시도, 이용자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아직까지 스마트폰을 이용해 실제로 개인이 금전적인 피해를 본 사례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다만 스마트폰이 일반 휴대전화에 비해 안전성이 상당히 낮다는 이유로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일반인들의 보안 인식이 조속한 시일 내에 제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태다.

 

스마트폰 해킹을 방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모바일 백신’을 자주 돌려 악성코드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안철수연구소 관계자는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사실을 명심하고 좀 불편하더라도 모바일 백신을 반드시 이용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잘 모르는 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 행위를 자제하고, 발신인이 불명확한 메일은 발견 즉시 열지 않은 채 삭제하며, 블루투스 기능은 꼭 필요한 때만 켜는 등 가급적 외부에 노출되는 빈도를 줄이는 것도 바람직한 해킹 방지책 중 하나”라고 말했다.

 

webmaster@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