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지 연결 인식 부족으로 녹지간 연계 부족 아쉬워

생태네트워크 고려한 ‘공동체 만들기’ 목표돼야

 

송인주연구위원.
▲송인주 연구위원

서울의 녹지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푸른도시 서울’ 사업은 그동안 다양한 공원녹지사업의 추진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녹지 연결에 대한 인식 결여로 사업들간의 연계성이 부족한 점은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앞으로 다양한 녹지조성사업들이 시너지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 동안 단절되었던 공원녹지관련 녹색사업들을 네트워크화하여 녹지공간을 체계적으로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10여 년간 서울에서는 열린학교 조성사업(815건), 옥상공원 조성사업(337건), 아파트 열린녹지조성사업(122건) 등 다양한 생활공간녹화사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치구별 특성에 대한 고려가 비교적 미흡하였으며, 기존 확보된 도시림 면적이 큰 노원구와 강남구에서는 100건 이상 사업이 시행된 반면, 녹지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동대문구와 강북구에서는 40~50건에 그쳐 지역별 녹지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아울러 산림, 경작지 등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는 다양한 인위적인 토지이용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주택지, 상업업무지, 교통시설지 등 시가화면적은 증가하고 있어 생활공간 내 녹지 확충의 필요성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외국에서는 도시내외에 다양하게 분포하는 대규모 자연공원에서 소규모의 민간녹지까지 녹지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사업을 시행해 왔다. 영국의 그린그리드 전략계획은 East London 지역을 녹지축 중심의 6개 그린그리드로 나누어 그리드별로 전략적 그린코리더와 링크, 녹지와 연계된 보도 및 자전거 도로 등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의 슈트트가르트 녹지계획은 도시차원의 녹지네트워크 계획으로 도시외곽의 대규모 오픈스페이스에서 도심을 연결하는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조성계획을 마련하여 도시내부의 녹지를 조성하고 있다. 핀란드 비키 생태주거단지는 우수통로기능과 연계한 그린핑거를 조성하여 인근녹지와 주거단지의 녹지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있다.

 

서울시의 녹지는 남쪽과 북쪽을 중심으로 주로 외곽에 분포하고 있으며 도심 내 녹지분포는 아주 제한적이어서 녹지가 부족한 도심은 생활공간녹화사업의 확충뿐 아니라 기존의 주요녹지와의 연결을 위한 녹지조성사업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서울시 녹지분석을 통해 대거점, 중거점, 소거점을 확인하고 전체적인 연결을 고려한 장기적인 관점의 녹지조성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 전체 녹지패치는 대거점 47%, 중거점 24%, 소거점 29%로 패치수는 각각 6개, 22개, 2,043개로 분석된다. 환상산림축, 도심남북녹지축, 하천생태축 등 주요 녹지축상의 지역을 중심으로 생활공간녹화사업을 전개하여 단절된 생태네트워크 복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접근방법으로 주요녹지축에 위치하는 저층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생활공간 녹화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화사업 우선대상지는 4층 이하의 주거지 중에서 생태축으로부터 500m 이내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녹화사업의 효과 및 지속성 확보를 위해 도시개발사업 진행지역이나 예정지역은 제외하고 주거단지별 유형 및 녹지율과 같은 물리적 특성 그리고 고령화율 및 보육시설여건 등 사회적 요인을 고려하여 녹화사업시 대상지별로 개별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서울의 저층주거단지는 녹지율 및 주거지 유형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녹지가 풍부한 주거지, 녹지가 전무한 주거지, 상업 업무지와 혼재된 주거지, 녹지율이 비교적 높은 주거지 등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들 유형중 녹지율이 비교적 높은 주거지 유형은 녹화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이 높아 사업시행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예상된다.

 

서울의 푸른도시조성 전략 역시 장기적 관점에서 생태네트워크를 고려한 ‘공동체 만들기’를 목표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생활공간 녹화사업이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첫째 생태네트워크 및 지속적 효과가 확보되는 녹화 우선사업대상지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우선사업대상지의 특성을 고려한 녹색사업을 추진하고 생태네트워크에의 기여도를 고려하여 사업을 시행한다. 둘째 주민, 코디네이터,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생활공간 녹화협의체를 구성해 계획과 조성, 사후 유지․관리의 전과정에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도록 한다. 일반화된 가이드라인의 획일적 적용을 지양하고 주민과 전문가간의 충분한 의사소통을 통해 서울시 주거공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