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한선미] 급격하게 기후변화가 진행되면서 선진국에 대한 탄소 저감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소비재화 제작이 선진국이 아닌 개발도상국에서 진행됨에 따라 선진국은 탄소 발생을 개발도상국에 이임됐고, 이로 인한 수출입이 증가하면서 탄소 배출량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기반형 에너지 모델링을 통해 개발도상국도 탄소 저감 제품 제작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최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개최한 ‘기후변화·에너지 분석 모형 전문가 국제 워크숍’에서 기후변화·에너지 분석 전문가들이 자리해 탄소 배출 저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아태지역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환경부담의 상호연관성 분석’에 대해 발제한 키요시 후지카와 교수는 “과거와 달리 현재는 여러 국가 재화들이 모여 한 제품이 완성된다. 이로써 제품뿐 아니라 탄소, 에너지도 월경(越境)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경우 과거 제품 수출도 적고, 에너지 사용 및 탄소 배출도 적었지만, 최근 성장세를 타면서 수출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에너지 사용, 탄소 배출량도 급등하고 있다. 이에 대해 키요시 교수는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탄소배출을 위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태평양 지역 탄소 배출 급증

 

img_3315-.

▲키요시 후지카와 교수는 ‘아태지역 산업연관분석

을 통한 환경부담의 상호연관성 분석’에 결과를

발표하며 개발도상국도 탄소저감을 위한 기술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키요시 교수에 따르면 1985년 아-태평양 국가의 탄소 배출량은 22억9350만TOE였으며, 미국, 중국, 일본 순으로 탄소 배출을 많이 했다. 또한 국가간 수출이 많은 주요 국가는 미국, 일본, 한국미국과 일본, 한국이었다.

 

하지만 2000년 중국을 비롯한 개발도상국이 성장하면서 아-태평양 국가들의 탄소 배출량은 34억86400만TOE로 증가했다. 여전히 탄소 배출량이 많은 국가는 미국, 중국, 일본 순이었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대만 등의 국가들의 제품 생산 및 수출이 확대되면서 탄소 배출량이 급증했다. 이로써 과거 탄소 배출량이 많던 국가들에도 변화가 생겼다고 키요시 교수는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은 제품뿐 아니라 토지와 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토지의 경우 식품이 수출, 수입되면서 잠재적인 탄소 배출을 포함하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2000년 국가 토지 사용의 경우 중국과 미국이 가장 큰 수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이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등으로 수출하면서 그에 따른 토지 사용 면적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키요시 교수는 “1985년에는 미국, 일본이 생산과 소비로 인한 탄소 배출과 에너지 소비가 높았지만, 2000년 들어서는 미국, 일본이 생산을 다른 국가에 위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키요시 교수는 “이는 곧 제품 생산에 탄소 포함이 된다는 것이며, 개발도상국들도 제품 기술 개발 및 탄소 저감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freesmha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