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환경일보 정윤정 기자] 지구촌 최대의 환경 및 지속가능발전 회의인 리우회의가 열린지 올해로 20년을 맞는다. UN 반기문 총장이 연임 당시 임기 중 가장 중요한 회의 중 하나로 각별한 관심을 보이기도 했던 ‘리우+20’ 정상회담이 올해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그 20년의 역사를 점검하기 위한 만남을 기다리고 있다.

 

리우회의 이후 리우+10을 평가할 때 국제사회의 흐름은 상당히 경제논리에 치중한 경향이 있다. 게다가 지금 같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점에 환경과 경제, 사회의 ‘트리플 바텀 라인’을 어떻게 설정하고 세워가야 하는 것일까.

 

리우회의 이후 지난 20년간 온실가스 배출은 OECD 국가 평균 40% 상승했고 한국은 훨씬 웃도는 70%나 상승했다. 20년 동안 일어난 일이다. 지구 평균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가 무언가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변화를 위한 대가지불이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이를 위해 COP17, 18을 비롯한 기후변화 국제 협상 테이블에서는 산업화로 온난화에 기여한 선진국 뿐 아니라 개도국까지 예외 없이 감축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총량 감축을 위해서는 맞는 말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대가지불은 원인자 부담원칙에 근거한 선진국과 산업계, 그리고 석유산업의 기초 위해 일상을 영위하는 모든 사람들의 변화가 수반돼야 하는 일이다. 리우+20을 준비하며 많은 국내 환경단체들이 이제는 화려한 잔치에 머물지 말고, 결과문서에 충실한 대안을 실행하자고 말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을 것이다.

 

yoonjung@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