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슬러지 해양배출 금지로 육상처리 비상

처리시설 운영 효율 떨어져, 인력 양성 시급

 

img_3580

[환경일보 박종원 기자] 우리나라같이 자원이 부족한 나라는 버리는 자원도 활용할 방법들을 찾아야 한다. 특히 해양슬러지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버려졌던 슬러지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공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민병인 팀장은 “우리같이 자원이 부족한 나라는 버리는 자원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라고 말했다. <편집자주>

 

 

런던협약에 따라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우리나라도 국제적 추세에 따라 해양투기를 금지하는 법안이 확정됐다. 환경부는 이미 2006년부터 육상폐기물 해양투기종합대책을 마련해 2011년까지 해양투기 전면금지에 따른 대책을 추진해왔다. 또한 2012년까지 해양슬러지를 제로화시킬 계획으로 처리시설도 꾸준히 확충해 109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처리시설 실태조사를 완료한 상태다. 민 팀장은 “선진국에 비해서 기술은 떨어지지 않지만 운영효율이 떨어진다”라며 “운영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버리는 자원에 대한 기술 개발 절실

 

하수슬러지 해양배출 비율은 2005년 77%에서 2011년 39%로 감소추세에 있었다. 하지만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을 제로화하고 현재 0.8%에 불과한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자립율을 2030년까지 평균 45%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환경부의 최종 목표다. 미국, 독일, 스위스 등과 같이 국토가 크고 자원이 많은 나라들과는 달리 우리나라같이 자원이 부족한 나라는 이러한 버리는 자원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다.

 

현재 하수슬러지 처리를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은 소각법이다. 소각법은 소각시 나오는 열을 사용할 수 있고 감량률이 우수해 국가적으로 비용을 지원해 처리하고 있다. 소각재는 매립이나 지정폐기물 처리업체에 위탁처리 하고 있지만 대규모 환경오염방지시설이 필요하고 환경영향으로 민원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민 팀장은 “국고보조금으로 총인 발생억제설비 등을 꾸준히 하고 있지만 발생량이 20~30% 증가했다”라며 “인(N)은 슬러지 발생량 증가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또한 “소각시 나오는 폐열을 회수해서 전기를 생산하거나 매각, 또는 자체 열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라며 “현재 우리나라 소각장의 대부분이 폐열을 활용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직 기술적으로 안정 안 돼

 

02e86900

이밖에도 하수슬러지의 자원화를 위해 고화처리, 부숙화, 혼합소각, 건조 후 보조연료 및 연료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추진 중이지만 아직은 불안정한 기술들이 많다. 고화처리는 우리나라에 정착이 안돼 양생기가 불안정해 중공이 불가능하며 복토재 성분이 배출기준에 적합해야 하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고 건조화 공법은 건조 후 연소에 따른 에너지 사용의 비효율과 부산물의 수요처가 대부분 장거리에 위치해 운송비가 과다하게 나오는 단점들이 있다. 민 팀장은 “기술 공모과정에서 다양한 기술들이 모이다 보니 단점이 많은 공법도 있다”라며 “기술적으로 안정이 안 돼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하수슬러지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악취다. 민 팀장은 “악취를 제거하려 여러 공법을 개발중이지만 완벽하게 되지 않고 있다”라며 “환경기준에 따라 부지경계선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서 악취농도를 측정해 기준치를 만족하려고 하지만 맑은 공기를 마시다 처리장 근처에 가면 냄새가 날 수 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시설을 밀폐시키는 방법에 대해 “최근에 하남시, 안양시처럼 시설을 땅속으로 밀폐시키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라며 “시설의 상부를 공원화하면 주민들에게 편익시설을 제공할 수 있지만 공사비가 매우 높다”라고 말했다. 특히 “지자체들이 관심은 많지만 예산이나 재원마련 등이 어려워 민자사업을 추진하다보니 초기 투자비가 높다”라고 설명했다. 신규 매립장을 조성하는 것도 쉽지 않다. 민 팀장은 “신규 매립장은 비용보다도 민원 때문에 매립장 조성이 불가능해 기존 매립장을 순환형 매립장으로 전환하는 중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슬러지를 자원화하는 방식은 아직 효율이 높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민 팀장은 “시멘트 킬른 로에서 폐타이어 조각을 열원으로 사용했으나 최근엔 폐타이어 부족으로 슬러지를 구입해 열원으로 사용하고 있다”라며 “다른 열원에 비해 화력이 부족해 LNG 등의 보조연료를 사용해야 하지만 상당히 저렴하다”라고 설명했다.

 

전문 운영인력 육성 시급

 

발전하는 처리 기술에 비해 처리시설의 운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처리시설은 보통 15~18년 주기가 되면 개보수를 해야하는 정책이지만 유럽같은 경우 이보다 오래동안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민팀장은 “처리시설에 가면 실제로 전문가들이 없어 전문성이 떨어진다”라며 “비용 등의 문제로 전문인력을 배치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환경부에서는 온라인으로 처리시설의 일일처리량 등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민 팀장은 “R&D 등을 통해 다양한 기술개발이 이뤄져야 한다”라며 “최근엔 미국이나 유럽 등도 모형설비 등을 통해 기술개발을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기술개발이 어느 정도 이뤄지면 이러한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는 재원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pjw@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