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박종원 기자 = 우리 사회 부패사건의 24~54%가 건설부문에서 발생하고 있는 등 건설산업의 투명성 회복이 시급하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또한 경제규모에 비해 차도 및 도로 인프라가 부족해 적정한 사회간접자본(이하 SOC) 투자 규모 설정 및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사단법인 대한토목학회는 차기 정부의 건설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개진과 공감대 형성을 위한 토론회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했다.

 

134554178394.

▲ 대한토목학회 고현무 회장은 개회사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한국건설 스스로의 노력

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개발 및 글로벌 건설리더로서의 도약을 준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사진=박종원 기자>


대한토목학회 고현무 회장은 개회사에서 “국가기반시설 및 친환경 예산축소,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건설산업이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라며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한국건설 스스로의 노력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개발 및 글로벌 건설리더로서의 도약을 준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134554178661.

▲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최삼규 회장은 축사에서 "과거의 물적 성장을 넘어 가치를 창조하는 질적

성장을 이뤄야 한다"라고 말했다.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최삼규 회장은 축사에서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끊임없는 도전으로 해외 시장을 개척해 5000억불의 금자탑을 달성했다”라며 “이제 과거의 물적 성장을 넘어 가치를 창조하는 질적 성장을 이뤄야 한다”라고 말했다.

13455417896.

▲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조진현 학생은 "건전한 경쟁을 통해 실력 향상과 랜드마크에 대한 수요를

해소할 수 있는 토목 제전을 개최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입시생들 토목공학에 매력 못 느껴”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조진현 학생은 토목 발전을 위한 새내기의 제언에 대한 발표에서 “토목공학은 창의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창출하는 가치를 전달하지 못한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입시생들에게 매력이 없다”라며 ‘토목’을 대체할 새로운 이름공모와 토목 안내 학술지 배포,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토목 제전 등을 제안했다.

 

조진현 학생은 “새로운 이름은 토목의 창출가치를 대변하는 세련되고 매력적인 이름이어야 한다”라며 “입시생들에게 건설산업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한다면 인재의 질적 양적 확충이 가능해 결국 토목계의 장기적 발전을 가져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토목 제전에 대해서는 “신입사원들은 실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건전한 경쟁을 통해 실력 향상과 랜드마크에 대한 수요를 해소 할 수 있는 토목 제전을 개최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134554180206.

▲ 카톨릭대학교 김명수 교수는 건설문화 혁신 운동, 건설산업의 이미지 제고 등의 건선산업 구조적

요인 개선을 혁신과제로 내세웠다.

 

건설업계의 부정부패 여전히 심각

 

카톨릭대학교 김명수 교수는 국내건설산업의 투명성 현안과 혁신과제 발표에서 “우리나라는 2011년 국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식지수 발표에서 183개국 중 43위를 차지해 부패한 국가로 분류돼 있다”라며 “시기, 조사방법, 주체에 관계없이 우리 사회 부패 사건의 24~54%는 건설부문에서 발생한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199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투명성 제고 방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정부패는 심각한 수준”이라며 “단기적 대응책과 규제 중심의 기존 부패방치 대책들을 이제 국가발전 차원에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그는 건설문화 혁신 운동, 건설산업의 이미지 제고 등의 건설산업의 구조적 요인 개선을 혁신과제로 내세웠다

 

134554179392.
▲ 연세대학교 한승헌 교수는 "국내 상황에 맞는 SOC 투자규모 설정 및 투자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연세대학교 한승헌 교수는 차기 정부의 건설정책 과제에 대한 발표에서 “삽질경제, 반 복지, 환경파괴범 등 건설산업에 대한 국민적 이미지가 악화되어 있다”라며 “건설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한 노력을 관·산·학·연이 모여 논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경제규모에 비해 도로 및 차도 인프라가 OECD 국가들과 비교해 중하위 수준”이라며 “국내 경제상황 및 재정여건의 변화를 고려한 적정한 SOC 투자 규모 설정 및 투자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건설산업혁신위원회 구성해야”

 

한 교수는 인구구조 변화, 환경 및 자원문제, 과학기술 혁신과 융·복합 등의 메가 트렌드를 언급하며 “건설산업이 국가경쟁력 제고에 이바지 하는 사업이 되야 한다”라며 “차기 정부의 건설정책 방향은 창조적 복지향상과 청년실업 해소, 지속적인 성장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3대 비전과 10가지 정책과제의 모니터링 및 실천을 위한 건설산업혁신위원회를 구성 및 운영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 명지대학교 김태황 교수는 “건설산업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은닉의 산업이라고 하는 것”이라며 “건설업계 스스로가 투명하게 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차기 정부는 건설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며 “기술력과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선진화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부정부패 업체 공개법 필요”

 

조선일보 이광회 산업부장은 “건설산업은 아직도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라며 “차기 정부에서는 건설업계의 명혜회복을 위해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건설업계도 정부 탓만 하지 말고 내부적으로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라며 건설업계의 명예를 위해 부정부패를 저지른 업체들을 공개하는 법규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

 

pjw@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