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1930.

▲ 심포지엄에는 정부, 민간단체, 대학생 등이 참석해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사진=박종원 기자>


[환경일보] 박종원 기자 =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이하 KACCC)의 지난 3년간 추진성과를 발표하고 국내외 적응전문가를 초청해 국가차원의 적응 지원 시스템과 적응 연구 및 적용 사례를 공유하기 위한 ‘제4회 기후변화적응 국제 심포지엄’이 지난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과 KACCC가 공동 주최하고 환경부가 후원하는 이번 심포지엄에는 국가단위의 기후변화적응, 기후변화적응 지원 시스템 등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권영한.

▲ KACCC 권영한 센터장은 "기후변화적응에 취약한 계층에 초점을 맞추고 극한 기후 영향에 맞춰

정책방향을 수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단위의 기후변화적응 세션에서는 KACCC의 추진성과와 외국의 기후변화적응 정책에 대한 발표가 이뤄졌다. KACCC 권영한 센터장은 “전문가들을 위한 정보시스템과 웹사이트, 포털사이트를 통해 기후변화적응 정보를 일반 국민에게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다”라며 “국가적응네트워크와 국제적응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공유 및 교육에도 힘써왔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기후변화적응에 취약한 계층에 초점을 맞추고 극한 기후 영향에 맞춰 정책방향을 수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적 적응정보지원체계 필요

 

특히 그는 “기후변화적응이 국가안보, 자원관리 측면에서 주류화되어 국가정책에 반영돼야 한다”라며 “R&D 등을 통해 위기관리 능력을 높이고 통합적 적응정보지원체계를 개발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체계화 및 재정비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서흥원.

▲ 환경부 서흥원 기후변화협력과장은 "기상청의 새로운 시나리오에 따르면 온대기후가 아열대 기

후로 변해 계절의 변화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 서흥원 기후변화협력과장은 한국의 기후변화적응 정책에 대해 “전세계에 이상기온이 자주 나타나고 강도도 점점 커지고 있다”라며 “우리나라는 홍수와 산사태, 침식화 등의 빈도가 늘어나고 온난화로 인한 농작물 재배지가 점점 북상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기상청의 새로운 시나리오에 따르면 온대기후가 아열대 기후로 변해 계절의 변화가 올 것”이라며 “제주도는 겨울이 없는 날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 과장은 “2020년까지 BAU 대비 30%의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에너지 목표관리제, 신재생에너지 개발, 전기차 보급사업, 자동차 보조금-부담금 제도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일상에서도 저탄소 녹색생활을 위해 탄소포인트제, 그린카드 등을 도입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기후변화적응을 위한 안전사회 구축으로 녹색성장을 이룩해야 한다”라는 국가 기후변화적응 정책의 비전을 밝히며 건강, 농업, 산림 등의 10개 분야에 대한 향후 계획들을 밝혔다. 아울러 그는 “기후변화 정부간 위원회(IPCC) 5차 보고서를 기반으로 기존 대책의 잘못된 점을 보완하고 일관성 있는 대응체계를 여러분야로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img_1916

▲ 독일 연방환경청(UBA)의 아침(Dr. Achim Daschkeit) 박사는 "독일은 에너지, 기후를 통합해 인간,

복원 등 모든 분야를 고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독일, 에너지와 기후 통합 정책 펼쳐

 

독일 연방환경청(UBA)의 아침(Dr. Achim Daschkeit) 박사는 독일의 국가 기후변화적응 체계에 대해 “독일은 에너지, 기후를 통합해 인간, 복원, 수질관리, 홍수관리, 생물다양성 등의 모든 분야를 고려하고 있다”라며 “특히 연방부처와 연방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지역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컨퍼런스 등을 개최해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img_1920

▲ KACCC 정휘철 박사는 "지자체들은 녹색성장 기본법에 의거해 5년바다 정책을 새로 갱신하고 환

경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진 기후변화적응 지원 시스템 세션에서 KACCC 정휘철 박사는 한국의 지자체 기후변화적응 지원 시스템 현황에 대해 “지자체들은 녹색성장 기본법에 의거해 5년마다 정책을 새로 갱신하고 있다”라며 “환경부는 지자체의 정책수립과 이행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나라에 적합한 기후변화적응계획 수립을 위해 서울-인천간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라며 “계획수립 주체의 중심이 되는 지자체와의 커뮤니케이션에 힘쓰고 있다”라고 말했다.

 

영국

▲ 영국 환경식품농무부(Defra)의 레이먼드 케네디(Raymond Kenedy)는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을

이해하고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기 위해 적응 보고 권한을 국제권한으로 지정하고 있다"라고 말

했다.


영국 환경식품농무부(Defra)의 레이먼드 케네디(Raymond Kenedy)는 영국의 적응 보고 시스템에 대해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을 이해하고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기 위해 적응 보고 권한을 국제권한으로 지정하고 있다”라며 “기후변화적응 시스템 구축으로 장기적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적응정보 검색과 활용 용이하게”

 

KACCC 이명진 박사는 적응 인벤토리 및 적응 정보시스템 구축과 활용에 대해 “기존에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곳에 따라 다른 정보가 생성돼 전처리와 정보의 위치파악이 힘들다”라며 “정보의 종류, 간단한 설명, 출처 등이 명시된 메타데이터 위주로 정보를 제공해 검색이 쉽고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pjw@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