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날 회의에는 국내외 전자·정보통신업체, 도시관련기업·연구기관·대학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사진=박종원 기자>


[환경일보] 박종원 기자 = U-City를 위한 첨단 정보통신 기술과 인프라들의 조성이 어느정도 끝난 상황에서 디지털화 된 서비스들을 어떻게 시민들에게 제공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한 점점 늘어나는 빅데이터들의 신뢰도를 높이고 활용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들도 함께 나왔다.

 

국토해양부가 U-City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한국형 U-City가 국제 표준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U-City World Forum 국제기술회의’를 11월7일 서울 쉐라톤디큐브시티 호텔에서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국내외 전자·정보통신업체, 도시관련기업·연구기관·대학 등 300여명이 참석해 스마트 도시인프라 기술, 도시정보관리, 지속가능한 첨단도시 등에 대한 주제발표와 토론 등이 이어졌다.

 

2

▲ 국토지리정보원 임주빈 원장은 “공간정보는 모든 사회현상의 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위치전략

실현 수단”이라며 “스마트 사회의 핵심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스마트 사회의 핵심은 공간정보”

 

기조강연에 나선 국토지리정보원 임주빈 원장은 미래도시구축 위한 국가공간정보 전략을 발표하며 “공간정보는 모든 사회현상의 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위치전략 실현 수단”이라며 “스마트 사회의 핵심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특히 “과거의 지리정보는 공간의 형태에 초점을 맞춰 지형이나 사물의 위치정보 등만 제공했다”라며 “2000년대 이후 개념이 확장된 공간정보 개념은 형태 뿐만 아니라 각종 상황정보까지 포함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미래의 지도는 세상의 모든 위치기반 콘텐츠들을 유통시키는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일들을 전달하는 미디어의 기능도 수행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 원장은 “공간정보산업은 첨단 기술과 접목해 급속도로 성장 중”이라며 “2015년까지 연평균 11%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2009년 기준으로 스마트폰 중심의 어플리케이션 공간정보 활용률은 23% 수준”이라며 “관련 첨단기술과 융합해 2013년에는 80% 수준으로 급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U-City 구축을 위한 공간정보구축 추진 전략에 대해서는 “변화가 많고 자주 사용하는 지형·지물들의 기본도 수정주기를 단축할 것”이라며 “차량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 무인항공기 등의 신기술을 접목하고 정착시키겠다”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사용자 위치에 따라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맞춤형 서비스를 확대할 것”이라며 “실세계의 모습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라고 밝혔다.

 

3

▲ IBM 브라이언 달게티 (Brian Dalgetty) 부회장은 “모든 것을 통합지휘해 도시를 스마트화 하는 것

이 중요하다”라며 “기본적인 인프라를 통합하는 것이 그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IBM 브라이언 달게티 (Brian Dalgetty) 부회장은 “과거에는 새로운 인프라 구축에 많은 돈이 들었지만 이제 그렇지 않다”라며 “디지털화된 도시서비스를 어떻게 시민들에게 제공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따라서 그는 “모든 것을 통합지휘해 도시를 스마트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기본적인 인프라를 통합하는 것이 그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빅데이터 활용방안 마련해야”

 

또한 도시의 스마트화에 필요한 것들에 대해 “점점 늘어나는 빅데이터들을 어떻게 활용·분석하고 결합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라며 “다양해지는 데이터들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img_3008 copy

▲ 국토연구원 이재용 연구원은 “U-City는 다양한 도시문제들을 정보통신 기술과 인프라들을 활용

해 해결하는 새로운 도시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주제발표에 나선 국토연구원 이재용 연구원은 국내 U-City 발전방향 및 전략에 대해 “U-City는 다양한 도시문제들을 정보통신 기술과 인프라들을 활용해 해결하는 새로운 도시개념”이라고 설명하며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관련법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특히 “도시의 효율을 높여 시민의 삶이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최종 목표”라며 “RFID, USN, CCTV 등 다양한 도시기반 시설들을 융합해 시스템을 만들고 서비스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예전처럼 특정장소에서만 서비스를 받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행동반경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라며 “물리적인 토지와 함께 U-Space 개념도 포함시켜야 한다”라고 말했다.

 

“인력양성에 계속 힘쓸 것”

 

마지막으로 이 연구원은 “흩어져 있는 시스템들을 모을 수 있다면 개발비도 줄일 수 있다”라며 “민간 참여부분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국토부의 주요 전략인 U-Eco City 기술을 개발하고 조만간 지자체에 확산시킬 것”이라며 “기반 조성이 끝나는 2014년 이후 활성화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관련분야 석·박사 및 일반인 교육을 통해 지속적인 인력양성에도 계속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pjw@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