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박종원 기자 = 일부 라면에서 검출된 벤조피렌 덕분에 우리나라 식품들이 국제적으로 ‘유해식품’이라는 낙인이 찍힐 위기에 처했다. 국정감사장에서 처음 제기된 이번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즐겨먹는 라면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더욱 충격적이었으며 언론의 보도를 타고 빠르게 확산됐다.

 

그렇다면 과연 이 문제가 해외에서도 이슈가 될만한 일이었을까. 사실 과거에도 쥐머리, 칼날, 곰팡이 등 식품 안전 문제는 잊을만 하면 나오는 소재들이었다. 하지만 이런 문제들이 국제적으로 이슈가 된 적은 없었다.

 

무엇보다도 식약청은 “안전에 이상은 없지만 국민들을 위해 회수한다”라는 뭔가 의심스러운 회수명령이 국민들의 불안감을 확신으로 바꿔줬으며 오락가락한 대처로 피해를 키웠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아니나 다를까 이러한 발표 후에 해당제품의 점유율은 뚝 떨어졌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빌려 “평생먹어도 안전한 양”이라고 뒤늦게 홍보에 나섰지만 국민들의 시선은 차가웠다. 무엇보다 아쉬운 점은 올바른 대처를 했다면 해당기업의 손실과 식약청의 부정적 이미지 확산, 국가적 이미지 하락까지 이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이번 사건으로 생긴 부정적 이미지가 해당 기업의 다른 제품에까지 퍼져나갈 가능성이 있고 다른 제품들보다 점유율 회복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식품의 특성상 앞으로 피해액도 더욱 커질 것이다. 아울러 이번 사건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식품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길 바란다.

 

pjw@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