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사막화 현상의 심각함을 인지하고 공론화해 대책을 논의하는 세미나가 최근 열렸다. <사진=박미경 기자>


 

[국회=환경일보] 박미경 기자 = 국내 연안 절반에 해당하는 면적에서 바다사막화가 진행되고 있어 방지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정부도 천연 해조장 및 바다숲 조성을 통해 막대한 돈을 쏟아부어 수산자원 회복을 위해 나서고 있지만 사막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피해는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수산업은 식량기반은 물론 미래먹거리로 부상하고 있지만 피해입은 해양환경에서의 어업 손실은 불가피하며 경제적 피해까지 가중되고 있다.

 

문제는 바다사막화에 대한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온도 상승으로 바다사막화가 발생한다고 보고 있지만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있다.

 

▲바다의 해초들이 죽어가면서 연쇄작용으로 수산자원과

어류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 <사진제공=해양수산부>

이에 따라 해역별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최근 국회에서 열린 ‘바다사막화 현황 및 방지를 위한 토론회’에서는 바다사막화 문제를 공론화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부, 시민사회, 국회 차원에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바다사막화란 유용 해조군락이 감소하고 이용가치가 없는 석회조류가 대량 번식해 연안의 바위 표면이 백색 또는 홍색으로 변하는 갯녹음(백화현상)이 심화되면서 석회조류마저 사멸해 암반이 백색으로 변하고 해양생물이 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국내 연안 48% 바다사막화 진행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의 ‘바다사막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면적의 48%에 해당하는 1만6738ha에서 바다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57배이며 1ha당 458만원 어업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수부 장묘인 과장

IPCC 제5차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우려되는 기후변화 위협으로 해수온도 상승, 해수면 높이 상승, 해양산성화를 꼽고 있다.

 

바다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연간 24~34억톤 가량 흡수하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록 해양은 산성화되는데 1968년부터 2004년간 pH는 매년 1~2% 감소하고 있고, 도서국가는 2050년까지 해양산성화로 어업생산량의 20%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수산자원정책과 장묘인 과장은 “동해 울릉분지 표층 산성화 정도는 지구 평균의 2배로 확인됐으며 이는 해양생태계 1차 생산력 감소, 지속적인 어업생산량 감소를 유발해 지역경제 악화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기후변화는 바다의 수온상승, 염분 변화, 해수면 상승, 해양산성화를 통해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결국 갯녹음이나 바다사막화를 유발하고 있다.

 

장묘인 과장은 “국내 연안(제주도·동해안·남해안) 갯녹음 실태 조사 결과, 총 암반면적 중 44%에서 갯녹음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정부차원에서는 성게 등 초식동물을 제거하고 모조 이식, 영양염 공급을 통한 천연 해조장 관리 및 바다숲을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2030년까지 5만4000ha 조성을 목표로 추진 중에 있다.

 

바다사막화 방지 특별법 제정해야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

한편 갯녹음이 발생하는 원인 규명에 대해서도 논란이 이어졌다. 갯녹음이 일어나는 원인 분석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갯녹음 진행정도에 따라 치유 방법이 다르고 원인에 따른 맞춤형 대책 수립이 필요하지만 명확한 분석을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은 “정확한 실태조사, 원인 규명이 선행되고 행동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국내 연안 갯녹음이 많이 진행됐지만 바다사막화에 대한 원인 규명이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은 심각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에코피스아시아 김보삼 사업개발팀장은 “우리나라 국내 연안의 갯녹음을 보면 해역별 상황에 따라 발생 원인이 다르다”며 “지역에 걸맞는 복원방식을 과학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은 별도의 법을 통해 해양산성화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해양기후변화법(일명 바다사막화 방지 특별법)을 제정한다면 해양환경부문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통합적으로 추진할 전담기구를 확보하고 통합마스터플랜의 기능을 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바다사막화는 장기적이고 범지구적인 차원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가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 연안에 있어서 남획, 난개발 등 잘못된 연안관리로 초래했다는 의견도 있다.

 

전문가들은 바다사막화 발생원인이 기후변화 외에도 ▷(생물학적 요인)성게 등 해조식물 섭식 동물 증가 ▷(물리화확적 요인)해조류가 자라기 위해 필요한 영양염 부족, 담수유입 ▷(인위적 요인) 매립, 연안 시설물 설치 연안개발, 해양오염 등 다양하고 복합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범국민적 인식 제고 위한 홍보 강화
수산자원관리공단 임동현 기술개발실장은 “바다사막화를 방지하고 연안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남획 방지를 위해 실질적 어업관리, 어업인 인식 강화와 연안 시설물 설치로 주변 해역의 퇴적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측을 통해 대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에코피스아시아 김보삼

사업개발팀장

서남해환경센터 한해광 센터장 역시 “바다숲 조성을 한답시고 수백억을 쏟아 부어도 원천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안 된다”며 “발전소 온배수 배출 개선, 산업단지 등 오염물질 방류 차단 등 바다쓰레기 해결과 연안습지를 먼저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안습지를 훼손하면서 바다를 살린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한 센터장은 생태계 기반에 기초해 접근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해양수산부 장묘인 과장은 “예산을 최소화하면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며 “발전소가 바다에 내보내는 온배수에 대해서도 수산자원조성금을 부과하는 법안이 발의됐고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바다 내부는 직접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바다사막화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아울러 바다식목일(5월10일)을 비롯해 대국민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국민 뿐만 아니라 심각성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 하고 있는 것은 정부도 마찬가지다. 바다사막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양수산부 하나의 부처가 아닌 산업통상자원부, 국토부, 행정자치부 등 범부처 차원의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glm26@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