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일보] 이정은 기자 = 국무조정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김용건, 이하 센터)는 7월12일 오후 1시, 서울중앙우체국 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서울시 중구 소공로)에서 제8차 국제 모형 컨퍼런스(2017 International Modeling Conference, 이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컨퍼런스는 2010년 센터 출범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된 이래, 지난 7년간 온실가스 감축 효과 분석, 탄소 시장 전망 등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를 교환하고 토론을 벌여 왔다.

올해로 8회째인 이번 컨퍼런스는 ‘신기후체제 하의 탄소가격제 이해’라는 주제로 개최되며 국내·외 탄소시장 전문가 13명, 성윤모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환영사), 김찬우 외교부 기후변화대사(축사)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에너지기구(IEA), 국제배출권거래협회(IETA) 등 탄소시장 관련 주요 국제기관에서 초청된 전문가들은 ‘탄소시장 모형분석’과 ‘탄소시장 정책분석’에 대하여 열띤 토론을 펼쳤다.

<사진제공=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첫 번째 세션에서는 ‘탄소시장 전망(Thomas Kansy, Vivid Economics)’, ‘중국의 글로벌 탄소시장 연계(Jian Zhou, Tsinghua Univ. Institute of Energy, Environment and Economy)’, ‘수송모형 분석 결과(Renske Schuitmaker, 국제에너지기구 IEA)’ 등 탄소시장 모형분석과 관련한 전문가 발표 및 토론이 이뤄졌다.

 

Vivid Econmics 경영매니저

Thomas Kansy

Thomas Kansy는 “탄소시장의 규모는 연간 500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적용범위는 굉장히 크고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국제탄소시장의 연계를 통해 2050년 글로벌 탄소시장에서는 50% 이상의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이며, 앞으로 국가 간 협력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환경을 생각하지 않는 비용절감만을 위한 탄소거래나 국가 간 자원의 흐름으로 인한 정치적 문제 발생 가능성들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며 탄소시장의 목적 변질과 같은 문제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어 “문제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설계와 운영이 요구되며, 탄소시장의 연계 후에도 꾸준한 감시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효과적인 탄소 세율(Johanna Arlinghaus, OECD)’, ‘한국의 ETS(Emissions Trading Scheme, 배출권거래제) 최신동향 및 해외 상쇄배출권의 미래(김민영, 센터 전문위원)’, ’파리협정 IMM(International Market Mechanism, 국제탄소시장메커니즘) 전망(Jeffrey Swartz, 국제배출권거래협회 IETA)’ 등 탄소시장 정책분석 관련 주제로 전문가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됐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전문위원 김민영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김민영 전문위원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배출권거래제에 할당된 기업 522곳 중 521곳의 기업이 배출권을 제출했는데, 이는 매우 좋은 실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파리협정으로 인해 국제탄소시장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커졌으며 많은 국가들이 탄소시장의 연계를 고려하고 있다”며 “ETS의 화두로 부상하는 아시아에서, 한국 역시 이를 위해 전향적으로 협력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김용건 센터장은 “파리협정 발효 이후, 국제탄소시장 확대 및 효과적인 운영체계 마련을 위해 각국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컨퍼런스가 탄소시장에 대한 국제적 논의의 흐름을 파악하고, 미래 탄소시장이 발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press@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