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지난 낡은 미국형 모델 사용, 예보관 판단에 의존
한국형수치예보 모델. 빨라야 2023년에나 적용 가능

[환경일보] 환경부가 2014년부터 발표하고 있는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에 예보관들의 판단이 평균 30% 정도 개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예보관의 판단을 제외한 실제 미세먼지 수치예측모델의 정확도는 평균 50%대에 불과하다.

게다가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 및 적용은 2022년이 돼서야 끝나기 때문에 우리 국민들은 적어도 6년 간은 부정확한 미세먼지 예보를 믿을 수 밖에 없다.

국민의당 김삼화 의원이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미세먼지(PM10) 예보 정확도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4년 83% ▷2015년 87% ▷2016년 86% ▷2017년 89%로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가 평균 80%를 넘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컴퓨터 수치모델에서 산출한 예측값의 정확도는 평균 50%대에 불과하고, 관측자료 등을 참고한 예보관들의 판단이 평균 30%정도 개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김삼화 의원은 "한국형대기질모델을 적용해 미세먼지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작업은 2022년 이후에나 가능하다"라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2014년 미세먼지 예보를 시작하면서 미국 환경청(EPA)이 개발한 미세먼지 예측모델(CMAQ)을 활용해 미세먼지 예측값을 산출했다.

이 모델은 미국의 관측자료를 이용해 평가되고 최적화된 프로그램 모형으로, 대기질 예보가 아닌 주로 대기질 해석에 활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정확한 대기질 예보를 위해서는 우리 기상관측자료와 미세먼지 측정망 자료를 이용해 대기질 수치모형을 최적화해야 한다.

그러나 환경부와 기상청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기상과 오염도를 반영한 관측자료를 예측모델에 활용하는 자료동화기술을 적용하지 않았다.

30일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 의원은 “환경부가 이 모델을 사용하면서 대기오염 통계치만을 자료로 활용한 결과 미세먼지가 심각할 경우 감지확률이 서울은 62.9%, 전북은 8.9%로 격차가 매우 크다”며 “예측모델의 자료 동화 기술이 시급이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부가 사용하는 미세먼지 예측모델(CMAQ)에는 기상청이 운용하는 기상모델(황사예측모델)이 초기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상청은 2003년 황사예측모듈을 개발해 기상수치모델(UM 모델)에 연계시켜 황사예측을 하고 있는데, 13년 동안 한 번도 황사관측자료를 황사예측모델에 적용하지 않았다.

기상청은 2016년 12월에야 비로소 중국에 구축한 10개소의 황사관측망 자료와 기상청 27개 황사관측망 자료를 황사모델에 적용시켜 황사 수치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기상청 계획이 제대로 마무리 돼서 한국형대기질모델을 적용하려면 2023년 이후인데, 6년 후까지 오보만 들어야 하는가”라며 “한국형대기질모델이 현업화 되는 시기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현재 사용하는 모델을 위성자료와 동화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자료동화기술 개발 등 하위기술을 앞당길 수 있도록 잘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기상청이 오보 개선을 위해 퇴직 기상인 11명을 영입한 예보자문관 문제를 지적했다.

김 의원은 “하는 일 없이 기상청 예보자문과 전혀 관계없는 일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고 이에 대해 남재철 기상청장은 “지방청 예보자문관은 제도적인 개선을 통해 (기상청)직원이 퇴직 후 가는 자리가 아니라 공정하게 선발해서 운영하도록 하겠다”라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