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고려한 획기적 대안과 예산 세우고 실천해야

바다는 지구 생명의 터전이다. 인류는 바다로부터 엄청난 혜택을 얻으며 살아왔다. 그러나 기후변화시대 이제 더 이상 바다는 스스로 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

국립수산과학원의 해양관측 자료에 의하면 1968년부터 2016년까지 전 지구의 해양 표층 수온이 0.47℃ 상승했다. 반면, 우리나라 연근해의 표층 수온은 같은 기간 동안 세배 정도 높은 1.2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매우 심각하다는 의미다.

이런 추세라면 21세기 후반엔 서해안과 동해안 중부까지 아열대 기후구가 북상해 생태계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국립해양조사원의 해수면 변동 보고서는 1988년부터 2016년까지 28년간 자료 분석결과를 담고 있다.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매년 2.96㎜이며, 해역별로는 남해안 3.16㎜, 동해안 3.78㎜, 서해안 1.47㎜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도 해역은 4.55㎜로 가장 높았다.

연안지역 해수면이 1m 상승하면 한반도 면적의 1.2%가 침수될 수 있는데 이는 여의도 면적의 300배에 해당한다.

대기 중 온실가스 증가는 해양산성화와 해수온도 상승, 해양환경 변화 등을 초래한다. 해양생태계는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게 되고 연안지역 주민들은 직간접적으로 큰 피해를 겪을 수 있다.

가장 우선할 일은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지만, 작금의 국제 동향을 볼 때 매우 어려운 주문이다. 기후변화는 앞으로 수세기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며, 기후변화 대응과 더불어 적응방안 마련과 실천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미국, 영국, 독일, 호주 등 선진국들은 기후변화를 감안한 연안지역 관리 정책 및 제도를 시행 중에 있다.

우리나라도 연안 지자체의 기후변화 대응 참여와 적응 인증 프로그램을 제도화하고 평가체계 고도화를 추진 중에 있다. 주요 연안별 기후변화에 따른 변동 특성을 파악하고, 연안 지자체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통해 연안별 해양기후변화 적응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기후변화영향을 직접 겪고 있는 동아시아지역 국가들과 연합해 기후변화 현황파악 및 적응 방안을 공유하고, 공동연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접근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여전히 해양기후변화 적응 정책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필요성에 대해 정치권과 국민들의 인식은 많이 부족하다.

해양기후변화에 취약한 연안 지자체들을 체계적으로 준비시킬 예산도 없다. 실질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인류의 미래는 바다에 달려있다. 대한민국의 미래도 바다를 제외하고는 말할 수 없다. 바다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을 위한 획기적이고 즉각적인 행동이 나와야 한다.

내일 말고 오늘 말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