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파괴로 전염병 확산, 생태계보호 등 사전예방이 최선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과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는 지구의 온도를 높이고 예측 불가능한 각종 이상기상과 재해들을 유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생태계파괴를 가속화하고 야생동물과 접촉점을 넓히면서 전염병 또한, 확산되고 있어 문제다.

경제우선의 정책으로 인해 많은 나라에서 자연이 빠르게 훼손되고 있고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절대 면적이 사라지고 있다.

생태계 파괴로 서식지를 잃은 야생동물이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이나 목축지로 이동하면서 조류독감 등과 같은 인수공통 전염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온라인·암시장 등을 통한 야생동물 불법거래는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 계열의 전염병을 유발할 수 있다.

박쥐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야생동물을 중간숙주로 인간에게 옮겨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사스는 사향고양이, 메르스는 낙타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

박쥐의 코로나바이러스가 코로나19와 게놈이 96% 동일하다는 논문이 발표됐고, 천산갑에서 채취한 바이러스 유전체의 염기서열이 코로나19 감염자의 것과 거의 일치한다는 연구도 있다.

서식지 파괴로 야생동물들이 인간 가까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기후와 환경, 공중보건을 통합 고려하는 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유럽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후변화적응 공중보건정책’ 같은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정책을 서둘러야 한다.

지구 모든 대륙에서 전염병이 유행하는 팬데믹(pandemic)은 동물과의 잦은 접촉, 밀집된 주거형태, 세계화로 증가된 교역·교류 등 현대 문명이 원인이라는 견해도 있다.

사람·동물·환경의 건강이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세계에 살면서 국제적인 공동대응 또한 절실한 상황이다.

환경 파괴로 인해 신종 바이러스들이 나타나고 있고, 대규모 전염병의 발생 주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이번에 코로나19가 전파되면서 전세계 상황을 보고 알 수 있듯이 전염병이 발생한 이후 대응은 효과는 미미한 반면 피해는 너무 크다.

따라서 전염병 발병의 조건을 차단하는 사전예방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다. 야생동물 불법거래를 강력히 규제하고, 야생동물 체험시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조류독감·구제역·돼지열병 등의 가축 전염병 예방을 위한 가축 살처분 비용으로 3조7000억원을 지출했다.

엄청난 경제적 부담과 더불어 환경오염 유발,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했고,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질병의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

가축전염병 발생시 천편일률적으로 시행중인 대형 살처분을 막기 위해서는 축사 허가 조건에 축사간 일정 이격거리를 강제 규제하는 등 예방을 위한 정책들이 제시돼야 한다.

공장식 축사를 지양하고 친환경 축사로 전환해야 하며, 공장식 밀집사육을 막기 위해 축산법 개정도 고려해야 한다.

엄청난 고통과 희생을 수반한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이겨내면서 큰 교훈도 함께 건질 수 있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