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처리 약품 자동 투입, 수도관 파손 등 사고 조기 감지

[환경일보]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이번 추가경정예산에 즉시 착수가 가능한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 구축’을 포함했고, 올해 하반기부터 ‘인공지능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도입‧추진한다고 밝혔다.

도입 대상은 정수장, 조류 발생 위험이 높은 취수원 등 48개 광역 및 공업용수도 시설이다.

인공지능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은 첨단 기술을 활용해 정수처리용 약품 투입을 자동화하고 사고를 조기에 감지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등이 가능한 지능형 정수장 구현기술이다.

이를 통해 정수장의 자동화 및 정밀 운전으로 정수장의 최적 운전이 가능하며, 실수로 인한 사고도 최소화할 수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 인공지능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도입된다.<자료제공=환경부>

이를 바탕으로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가 도입되면 취수에서 정수생산 및 공급까지 수질 및 누수 관리는 물론, 수도관 파손 또는 수질 오염사고 등에 대한 위기대응 체계가 강화된다.

환경부는 그린뉴딜 정책에 포함될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해 환경부 차관이 현장 점검에 나서는 등 본격적인 사업 착수에 들어갔다.

홍정기 차관은 6월12일 오전,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화성정수장(경기 화성시 소재)을 점검했다.

이날 홍 차관은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의 일환으로 2023년에 완성될 예정인 인공지능(AI)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 사업추진 계획을 보고받고 해당 시스템이 도입될 시설을 둘러본 뒤에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홍정기 환경부차관이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정수장을 방문해 ‘인공지능(AI)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이 도입될 고도정수처리시설의 운영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환경부>

화성정수장은 화성시 및 평택시에 생활용수 17만8000㎥/일을 공급하는 시설로 지난 2016년 고도정수공정 도입을 끝내고 운영 중이다.

홍 차관은 “그린뉴딜의 중요한 축을 맡게 될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를 차질없이 추진하여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경제에 큰 활력이 되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