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컷.
이미지 컷.

 

[환경일보] 오성영 기자 = 추간공확장술은 추간공 주변의 인대를 특수 키트로 절제하여 추간공을 확장하고 해당 공간으로 염증유발물질을 배출함으로써 척추관협착증, 허리디스크탈출증, 척추 유착성 질환(섬유성, 수술성) 등의 다양한 척추질환을 치료하는 시술법이다.

최근 추간공확장술 적용 범위의 다양성으로 인해 치료 사례 또한 크게 증가하면서, 척추질환 치료에 있어 ‘추간공’의 중요성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추간공(椎間孔)은 한자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한 두 척추뼈(추체) 사이에 위치하는 구멍을 의미한다. 추간공 내・외측에는 다양한 인대가 거미줄과 같이 얽혀있다.

그리고 그 인대 사이로 신경다발에서 분기되어 갈라진 신경가지는 물론 자율신경, 혈관도 지나기에 추간공은 터미널과 같은 곳이다.

특히 신경가지 중에서도 통증에 가장 예민한 후근신경절 혹은 뒤뿌리신경절이 추간공 인근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통증과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다.

척추관협착증, 특히 추간공협착증이라고 하면, 추간공 주변의 뼈 조직 및 인대가 각종 퇴행 변화에 의해 두꺼워져서 신경이나 혈관이 지나는 공간이 좁아지거나, 추체 사이 공간을 지지하던 디스크 자체가 마모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추간공 자체가 좁아지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그 결과 신경이나 혈관을 압박하게 되어 통증이 유발되고 혈액 순환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또한 척추관이나 추간공 주변의 뼈 조직이나 디스크 등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들이 흘러 나와 밖으로 빠져나가는 통로가 바로 추간공이다.

그 결과 척추관을 하수도관으로 비유를 한다면 추간공은 배수구, 추간공 내・외측 인대는 배수구 철망과 매우 흡사하다.

척추 유착성 질환(섬유성)의 경우,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과 각종 미세한 섬유성 유착들이 추간공의 내외측 인대(배수구의 철망)와 신경 주변에 들러붙어 해당 공간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이 주요 요인이 되어, 결국 통증이 유발되고 염증이 심해지는 것이다.

이처럼 추간공은 다양한 척추 관련 질환에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갈수록 추간공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서울 광혜병원의 박경우 병원장은 “추간공확장술을 ‘PLEF(Percutaneous Lumbar Extra-Foraminotomy)’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Percutaneous’는 시술 방향이 추간공 경유로 접근하고, ‘Lumbar’는 시술 부위가 척추 중에서도 요추(허리) 부위임을 의미하며, ‘Foraminotomy’는 추간공확장술(절제술)을 가리킨다. 가장 함축적 단어는 접두어 ‘Extra’이다. 일반적으로 활용되던 ‘in-out’ 꼬리뼈 접근법 대신, 생소하던 ‘out-in’ 추간공 접근법으로 시술이 진행된다”고 말했다.

이어 “좁아진 추간공을 확장한다는 개념을 강조할 때는 주로 ‘PLEF’라는 용어를, 추간공의 유착 및 염증 측면에서 추간공 기능 회복에 초점을 둘 때는 ‘Foraminoplasty’라는 추간공성형술을 기반으로 한 ‘PLFP’라는 용어로도 설명한다. 즉 추간공의 확장은 물론 추간공의 기능과 역할을 정상화하는 것이 척추질환 치료에 있어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