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지표 만들고 국민에 투명하게 제공해야

이상 기온과 폭우·태풍들이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빈번히 강해지고 있다. 2017년 여름 북반구에서는 대형 허리케인이 짧은 기간 동안 연속 세 차례 발생했다.

미국 텍사스 휴스톤에서는 허리케인 ‘하비’로 50만년에 한번 겪을 법한 폭우를 맞았다. 캘리포니아에서는 9000건의 화재로 4,000㎢ 이상의 토지가 불탔고, 그린란드에서는 2014년 대비 10배 더 큰 규모의 화재피해를 입었다.

2018년 여름 로스앤젤레스는 42℃, 파키스탄은 50℃, 알제리는 51℃의 폭염을 견뎌야 했다. 바다에서는 6개의 허리케인과 열대 폭풍이 거의 동시에 발생했다.

유럽과학자문위원회는 1980년 이후 폭풍 발생빈도는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뉴욕에서는 500년 주기 홍수가 25년 마다 닥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기후변화는 특히 극심한 강우현상에 영향을 미치는데 미국에서는 이미 극심한 호우가 20세기 중반에 비해 40% 이상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

기온이 1도만 더 올라도 4~5등급 허리케인은 25~30% 증가한다. 500년 빈도의 자연재해가 10~20년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기후위기로 인해 생태계 분포와 종 변화, 질병발생 증가 등 사회 전 부문이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런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면 소나무 숲은 2080년대에 이르면 현재보다 15% 줄어든다. 21세기 말에는 벼 생산성은 25% 이상 감소하고, 강원도 지역까지 감귤이 재배될 정도로 기온이 오른다.

폭염일수는 21세기 후반엔 연간 35.5일로 크게 증가한다. 폭염, 홍수 등 이상기후는 국민에게 직접적 피해를 유발하며, 특히 취약계층은 큰 피해가 우려된다.

2020년엔 47일간 계속된 최악의 장마에 이어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으로 인해 부산, 울산 등에서 피해가 속출했다. 배수로에 빠지고, 급류에 휩쓸리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경주 월성 원전의 발전기 2대가 가동을 멈췄다.

유엔개발계획(UNDP)이 최근 전 세계 120만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기후변화를 어떻게 보는지, 경제·에너지·수송·식량 및 농장·자연·인간 보호 등에 관한 18가지 주요 기후정책을 지지하는 지를 물었다.

3분의 2가 넘는 응답자들이 기후변화를 비상상황이라고 판단하며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현재 상황을 뛰어 넘을 대단한 기후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산화탄소 최다배출 10개 국가 중 8개 국가에서 절반 이상의 응답자들이 재생에너지 생산을 더욱 확대시켜야 한다고 답했다. 산림과 토지보존, 전기차와 전기버스 또는 자전거 사용을 적극 지지했다.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이상이 거주하는 50개국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의 대상에는 18세 미만 50만명 이상이 포함돼 더욱 관심이 집중됐다.

올해 11월 개최 예정인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6) 참가국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가. 지구촌민으로서 책임을 다하며 대외적 협상도 잘 챙겨야겠지만, 국내적으로도 기후위기 지표와 대응단계를 만들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시간이 없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