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입자치료 암제거, 안면·기능보전 가능

두경부는 일반인에게 낯선 용어다. 비강, 혀, 입, 후두, 인두, 침샘 등 숨 쉬고 음식을 먹고 냄새 맡고 목소리를 내는 등 살아가는데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기관이다. /사진=환경일보DB
두경부는 일반인에게 낯선 용어다. 비강, 혀, 입, 후두, 인두, 침샘 등 숨 쉬고 음식을 먹고 냄새 맡고 목소리를 내는 등 살아가는데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기관이다. /사진=환경일보DB

[환경일보] 김봉운 기자 = 두경부암은 뇌 아래와 쇄골 사이에서 뇌와 안구를 제외한 부위에 발생한다. 쉽게 말해 얼굴에 발생하는 암이다.

두경부암은 얼굴주변에 발병하므로 치료과정 중에서 얼굴이 망가질 위험이 있어 환자는 큰 두려움을 느낀다. 또 먹고 말하고 숨 쉬는 부위에 생기는 암이기 때문에 암 자체 혹은 암 치료 후유증으로 기능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치료나 수술시 암의 제거뿐만 아니라 기능 보전과 미용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절제 및 조직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생 부위에 따라 후두암, 구강암(설암, 경구개암), 인두암(비인두, 편도암, 하인두암 등) 등으로 구분한다.

흡연과 음주가 발병의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최근 자궁경부암의 원이이기도 한 인유두종바이러스, 즉 HPV에 의한 두경부암이 증가한다고 한다.

두경부암을 알리는 적색신호로는 목통증, 목소리 변화, 삼킴 통증 및 불편감, 목의 이물감, 호흡곤란 및 귀 통증 등이 있으며 구강 내 궤양 혹은 구내염이 한 달 이상 지속되거나 목에 만져지는 멍울이 지속되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두경부암은 완치가 어렵고 치료도 까다롭지만 조기 발견 시 경과 및 예후가 좋은 편이다. /사진=환경일보DB
두경부암은 완치가 어렵고 치료도 까다롭지만 조기 발견 시 경과 및 예후가 좋은 편이다. /사진=환경일보DB

일본에서는 이런 환자들에게 중입자를 이용한 암 치료를 실시하고 있다. 중입자치료의 권위자 츠지이 히로히코 박사(전 일본국립방사선의학연구소 센터장)는 “두경부 영역에서 발생하는 점막성 악성 흑색종은 방사선과 약물치료 조합으로 5년 생존율이 30%였던 것을 중입자 치료와 약물치료 병용으로 54%까지 끌어 올렸다”며 “악성흑색종의 경우 5년 생존율이 82%, 안구보존율은 91%로 나타나 치료 효과가 높다”고 설명했다.

현재 두경부암 환자들은 중입자치료지원센터코리아를 통해 일본QST병원(구 NIRS)에서 치료 받을 수 있는지 상담 후 일본에서 치료받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두경부암의 중입자치료는 수술자국 없이 안면 등을 보전할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고 짧은 치료기간과 인체에 부담이 없어 바로 일상으로 복귀가 가능해 두경부암 환자들에게는 꿈의 치료법으로 국내 빠른 도입을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