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은 기후위기 극복하고 지속가능 미래 이룰 자산

전 세계적으로 이상 기후가 확산되고 피해 규모가 커지면서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들이 서둘러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국과 같이 다량의 탄소배출로 책임이 막중하면서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치를 게을리 했던 나라들은 요주의 대상이다.

한국은 먼저,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0’으로 만들겠다는 탄소중립을 선언한 나라답게 행동에 나서야 한다. 모든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생활방식까지도 일대 변혁을 이뤄야 한다.

또 다른 사명은 지구촌의 일원으로서 마땅히 할 일들을 찾아 함께 실천하는 것이다. 그 중 서둘러야 할 한 가지가 ‘공해(公海)상 해양보호구역 지정’ 동참이다.

해양은 기후위기에 대응할 중요한 탄소흡수원이다. 지난 20여년 인간이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25% 정도가 해양에 흡수됐다는 연구 분석도 나왔다.

해양의 탄소 포집 및 저장 역할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율이 감소하고, 지구온도 상승폭이 줄고, 기후위기 피해가 완화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심해층(deep zone)은 지구 최대의 탄소저장소로 꼽힌다. 심해층은 수온약층 하부에 위치하며 수온은 연중 0~4℃로 일정하다.

남위 40도에서 북위 40도 사이 중위도 바다 1000m 수심에 존재하는 심해층의 부피비율은 전체 해수의 80% 정도를 차지한다.

그런데 이 소중한 해양이 무분별한 어업과 심해채굴, 기름유출, 쓰레기 등으로 심각한 위기에 놓여있다.

특히, 전 세계 해양 면적의 약 61%에 달하는 공해는 체계적 보호를 위한 국제법이 없어 어떤 조치도 없이 파괴되고 있다.

매년 배출되는 막대한 양의 탄소로 인해 해수면이 빠르게 상승하고, 해양산성화도 심화되면서 해양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양이 오염되면 탄소포집 및 저장 능력 또한 저하될 수밖에 없다.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고 해양을 건강하게 지키기 위해 해양보호구역 지정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힘을 받는 이유다.

해양보호구역은 해양에 대한 인간활동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해 해양생태계가 유지되고 회복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서식지 보호는 생물다양성증진, 생태계 회복을 불러와 어족자원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지·확산 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9년 2월 기준으로 공해 중 해양보호구역 지정 비율은 1.2%도 채 되지 않는다. 최근에 와서야 국제사회는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해 해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호활동에 힘을 모으고 있다.

미국, 영국 등 60여 개국은 ‘2030년까지 공해 30%의 보호구역지정(30x30)’ 방안을 공식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한국정부도 P4G 정상회의에서 동참의사를 밝혔는데 바로 구체적 활동에 나서야 한다.

해양은 중요한 자연 탄소흡수원일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인류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보호해야 할 소중한 공동자산이다.

3면에 바다를 마주한 대한민국에겐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