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현장에 맞는 기후적응 대책 찾도록 힘모아야

환경부가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아이디어 공모전을 추진하고 수상작을 공개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사전 예방적 적응사업과 정책을 발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공모전 기간은 4월19일부터 5월30일까지 40여 일 이었고, 폭염과 홍수 분야에 대해 ‘현장문제 해결형 적응사업’과 ‘적응정책’에 대한 아이디어를 받았다.

총 79건이 접수돼 전문가와 평가단 심사를 거쳐 7건이 선정됐다. 그런데 이번 공모전에는 짚어볼 것들이 몇가지 보인다. 우선은 제안된 내용들이 현장문제를 해결하기에 다소 비현실적이라는 점이다.

신체부착형 스마트 체온계로 체온을 측정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해 혹서기 쪽방촌 노인들의 건강을 지키자는 제안은 참신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 처해 있는 노인들 대부분은 스마트폰 보유 및 사용에 취약하다. 지난해 코로나19가 창궐하면서 세대·빈부·지역 간 디지털 격차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확진자 동선 정보, 마스크 구매처 등이 실시간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 국민들에게 제공됐지만 상당수 국민들은 관련 정보들을 제때 얻지 못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발표에 따르면 60대 이상의 경우 28.7%만 인터넷 연결 및 사용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의 경우 29.2%만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이용할 수 있다. 쪽방촌의 경우라면 상황은 더 열악할 수밖에 없다.

태양열 전지판으로 전기를 만들어 선풍기를 돌리는 ‘쿨링 버스정류장’, ‘아이스팩 부착 선풍기’로 쪽방촌 주민의 더위 식히기 등도 현실감이 떨어져 보인다.

기후변화 적응정책은 대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공모했는데 공원주위에 시민들이 맨발로 걸으며 더위를 식히는 물길 만들기, 이동식 식수대와 그늘막 등에 그쳤다.

공모기간 자체가 학생들의 중간고사, 리포트 제출과 맞물려 참가에 부담이 컸을 것으로 보인다.

10여년 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의 기후변화적응 정책과 현실대응은 여전히 별다른 발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원인은 정권을 가진 주체와 입법부의 안일한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며, 당장에 표와 연결되지 않는 ‘적응’에 대해 예산을 배정하고, 조직을 강화하고, 국민들의 경각심을 깨울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기후위기를 제대로 알리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다. 지금처럼 남의 나라 일, 잠깐 동안의 더위와 추위, 가끔 쏟아지는 폭우 정도로 봐서는 안된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이 앞으로 점점 더 강하게,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라는 사실을 분명하고 쉽게 국민들에게 알릴 의무가 있다.

육상과 해상의 생태계변화, 열돔현상, 유래가 없는 국지성 폭우 등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지역별로 적응대책을 찾는 것이 맞다.

공모전을 계속 하려면 기후위기로 어떤 상황까지 벌어질 수 있는지 먼저,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 후 지역별, 직업군별로 발생 가능한 피해들을 상상하고 적응방안을 찾아 보도록 배려하길 권한다.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기후위기는 취약계층에게 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겠지만, 다른 모든 이들도 피해갈 수 없는 현실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