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안은 물·에너지 절약 등 작은 변화부터

최근의 한국사회를 보면 답답한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특히,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무슨 일을 얼마나 진행하고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기후위기시대라고, 탄소중립 해야 한다고, 한국판 그린뉴딜이라고 목소리는 높이는데 실체가 안 보인다. 무슨 기준으로, 어떤 비전을 갖고, 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이 없다.

2030년은 이제 8년여 앞으로 다가왔는데 코로나로 눈 가리고, 손발 묶여 표류하는 모양새다.

유엔에서 세계가 합의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도 수년째 민관 합동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정부 주도하에 일부 참여자들이 보고서 위주로 진행하고 있고 국민적 관심과 합의, 협력을 통한 실천은 별개로 보인다.

가장 문제는 SDGs가 기존에 진행하던 도시정책 및 행정과 연계되지 못한 채 그저 부담스러운 과제 정도로 취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도시는 미래의 축소판이다. 전 세계적으로 도시 지역은 토지의 1%를 점유하지만, 전체인구의 55%가 살고 있다. 약 2.6㎢당 2000여 명이 고밀도로 거주하고 있다는 의미다.

도시는 전 세계 에너지 생산량의 75%를 소비하고, 탄소 배출량은 80%에 달하면서 지구온난화를 크게 부추기고 있다.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같은 불투수 포장은 열섬효과를 유발하고 아까운 빗물을 헛되이 흘려보낸다.

2030년엔 인구 1000만명이 넘는 도시가 43곳으로 늘고 그중 14곳은 20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2030년 까지 해안 지역의 침수를 막고 기상이변을 줄이고 농업 피해를 막기 뒤해 특단의 조치를 당장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유엔 또한, 기후변화로 지구상 800만 가지 동식물종들 중 100만가지 이상의 종들이 몇십년 내 멸종할 것으로 예측했다.

도시는 특히 위험하다. 외곽지역이나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지역에 비해 해수면 상승과 기후변화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기온 상승으로 높은 사망률, 에너지 사용 및 경제적 손실 등 최악의 상황을 겪을 수 있다.

기후위기가 아니더라도 거대 도시는 비인간적이고 영혼이 없으며 소외된 곳으로 바뀌고 있다.

도시의 몸집이 비대해지면서 교통혼잡, 대기오염, 쓰레기, 빈곤과 불평등 같은 문제도 더 확대된다. 도시가 커지면 집에만 틀어박히는 ‘방콕’ 현상이 급증한다.

운동량은 줄고 가공식품들을 과다 섭취하면서 비만인구가 늘고 심장병과 당뇨병, 관절염을 앓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실천이다. 작은 행동의 변화가 모이면 기후위기를 늦추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후손에게 넘겨줄 수 있다.

물과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충동적 의류구매를 자제하고, 음식물을 남기지 않도록 교육과 캠페인을 끊임없이 전개해야 한다.

공동체 전체가 발전하고 가난한 거주자들이 외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도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SDGs를 추진하는 주체들은 자발적인 국민참여와 실천을 확산시킬 방법을 치열하게 고민하고 적용해야 한다.

2030년엔 지금의 세상이 없을 수 있다. 지금 시작해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