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중위 중심 지키고, 예산 확보, 산업계 지원 힘써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지난 8월에 6차 보고서를 발간했다. 핵심은 2010년~2019년 10년간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혁명 기간에 비해 1.09℃ 상승했다는 것이다. 지구온난화는 분명히 인간에 의한 결과임 또한, 기술하고 있다.

환절기엔 아침 저녁 기온차가 10℃ 이상인 경우도 적지 않아 1.09℃는 별일 아닌 것처럼 생각할 수도 있다. 문제는 기온상승에 따른 기상이변이다.

IPCC 보고서는 기온이 1℃ 상승하면 폭염 발생은 2.8배, 집중호우는 1.3배, 가뭄은 1.7배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 말은 폭염도 겪으면서 동시에 엄청난 비와 극단적인 가뭄도 동시에 닥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런 평가는 이미 현실에서 벌어지고 있다. 올해 중국과 중부유럽이 극단적인 홍수를 겪은 반면, 북아메리카와 남부 유럽 지역은 엄청난 산불과 장기간 폭염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체감을 못해서 그렇지 사실 한반도의 상황은 훨씬 더 심각하다. 연평균기온은 지난 100년간 1.8℃ 상승했다. 지구 평균기온이 1.09℃ 상승한 것과 비교할 때 너무 높은 수치다.

여름은 19일 늘어났고, 겨울은 18일 짧아졌다. 폭염과 새벽 열대야는 각각 40%, 60% 정도 더 빈번해졌다. 연평균 강수량은 20세기 초와 비교할 때 120㎜ 이상 증가했다.

과연 기후위기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극복할 것인가. 유일한 답은 탄소중립이다. 이미 많은 국가들이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실행에 들어갔다.

우리도 민관 합동으로 탄소중립위원회를 만들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관계자들이 힘을 모으고 있다. 그런데 탄소중립은 결국 기존의 방식을 파격적으로 탈피하면서 발생할 경제·사회적 충격에 얼마나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느냐가 핵심이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제는 산업계를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에게 바른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면서 교육과 훈련을 시행하고 소통하는 일이다.

아직도 많은 국민들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한 관련 조사에 따르면 다른 사회문제와 비교할 때 기후위기는 1순위가 아니라 중간 정도의 순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조사에서는 삶의 질이 떨어져도 탄소중립을 받아들이겠다는 대답은 20%가 채 되지 않았다. 어떤 희생도 없이 기후위기라는 엄청난 쓰나미를 돌파할 수는 없다.

산업계도, 국민도 각자 할 역할을 인정하고 실천에 나서야 한다. 다만,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 규모도 제시하고 전기료·물값 인상 등 국민이 감당해야 할 경제적 부담도 수치로 보여주면서 동참을 요구해야 한다.

두 번째는 정치적 접근, 정부의 지나친 간섭을 배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탄소중립위는 독립된 기구로 권위와 책임을 부여받은 조직이다.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야 한다.

탄소중립의 당위성을 바탕으로 각 분야가 스스로 문제를 풀어가도록 맡기고 지원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세 번째는 이런 일들을 원활하게 풀어갈 수 있도록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는 일이다. 기후기금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만들고 당장 추진해야 한다.

2030년, 2050년은 금방 온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