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6 성과 기대 못해, 한국은 위기적응에도 힘 모아야

제26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가 영국 글래스고에서 10월31일 시작돼 11월12일까지 진행된다. 전 세계 196개국 대표단과 정상들, 시민단체와 언론인 등 3만여 명이 함께한다.

이번 총회는 감축, 적응, 재원, 기술이전 등 분야에서 총 90여 개의 의제들이 논의될 예정이다. 최대 관건은 국제탄소시장 관련 합의를 도출해 파리협정 세부이행규칙을 완성하는 일이다.

탄소시장 관련 지침은 국가간 온실가스 감축이전 실적에 대한 상응조정, 교토메커니즘 전환 등에 대한 당사국간 이견으로 채택이 결렬된 바 있다. 올해부터 파리협정의 이행기간이 시작되면서 당사국들 간 치열한 격론이 예상된다.

코로나로 인해 지난해를 건너고 열린 이번 COP26에 많은 이목들이 집중되고 있지만 큰 기대를 걸기는 어려워 보인다. 여전히 선진국과 개도국간 이견이 크다.

선진국들은 탄소중립 시점을 2050년으로 정하고 밀어붙이지만, 정작 중국·인도·러시아 등 최다 탄소배출국들은 불가하다는 반응이다. 이를 입증하듯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COP26에 불참했다.

개도국들은 선진국들의 파격적인 재정·기술 지원이 우선이라는 주장에서 한 걸음도 양보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지난 200여 년간 막대한 양의 탄소를 배출한 선진국들이 먼저 책임의식을 갖고 개도국 탄소감축에 기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이번 회의도 내실 없는 빈껍데기 합의로 마칠 가능성이 높다. 중요한 것은 소통과 자금이다. 개도국 탄소저감을 위해 연간 100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만들겠다는 파격적 합의가 필요한데 선진국들은 그저 화려한 말 잔치에 급급한 모양새다.

그나마 미국은 탄소중립을 이룩하기 위해 앞장설 것이며, 2024년까지 매년 30억 달러를 개도국에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최근 올해 지구 전체 평균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09℃ 올랐다고 기후상태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접했듯이 올해도 극심한 이상기후가 지구 곳곳을 할퀴고 지나갔다.

100년 빈도 북극한파가 발생하면서 미국 텍사스까지 큰 피해를 입었고, 미국 북서부와 캐나다, 지중해는 끔찍한 폭염으로 헐떡여야 했다.

서유럽과 중국은 폭우, 그린란드는 초유의 비를 겪으며 떨었다. 이상기후가 일상이 됐다는 ‘뉴노멀’이란 용어도 이제는 생경치 않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해수면 상승이다. 빙하가 녹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해수면 상승도 빨라지고 있다. 과거 10년 주기로 2.1㎜, 2.9㎜ 씩 높아지던 해수면이 최근 10년 새 4.4㎜ 높아졌다는 보고는 공포스럽기 그지없다.

대한민국의 해수면 상승은 전세계에서 가장 빠르다고 이미 알려진 바 있다. 그런데도 여전히 정치권도, 정부도, 기업들도, 대부분 국민들도 너무 태평스러워 보인다.

기후정상회의를 주목하되 우리가 할 일은 나름대로 해야 한다. 지자체별로 기후위기적응평가를 서두르고, 예산을 확보하고, 당장 할 일을 실천해야 한다.

ESG를 들먹이는 대기업들도 보여주기식 홍보를 넘어 기후위기에 취약한 지자체들을 돕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기후위기는 이미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