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극복할 진정성 있는 투자와 녹색전환 시급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는 기업 활동 전반에 친환경, 사회적 책임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을 고려해야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할 수 있다는 철학을 담고 있다.

배경에는 코로나19와 기후위기 그리고 환경파괴, 기업의 지배구조 불안정 등 판데믹 이후 기업경영 전반의 위기요인들이 있다.

ESG는 2004년 지속가능발전에 기업들의 동참을 장려하고 국제사회윤리와 환경을 개선하고자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보고서에 환경·사회·지배구조 요소를 고려하는 책임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됐다.

ESG 성과를 활용한 투자 방식은 장기적 수익을 추구하는 한편, 기업활동을 사회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토계획상 ESG 요소반영, 공시제도, ESG 평가 등이 추진되는 등 지금 전세계적으로 ESG 광풍이 불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2년여 사이에 ESG가 민간기업에 대한 환경사회적 책임경영 요구를 넘어 정부, 공기업, 학교, 시민사회단체에까지 확대되는 분위기다.

특히, 지자체들은 앞다퉈 ‘세계시민도시 ESG 00시’, ‘보다 좋은 현실, 더욱 밝은 미래를 만드는 00시 ESG’ 등 추진을 선언하고 있다.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촉구하는 분위기에서 ESG는 새로운 비전으로서 주목되고 있는 것이다.

세계 ESG 펀드는 53조 3000억 달러, 한국은 493조원 규모라고 한다. 이 어마어마한 공룡의 등장을 두고 사회적책임에 관한 국제표준(ISO26000)을 대체할 새로운 원동력이 되길 기대하는 시선들도 있다.

반면 과거 몇차례 반짝했던 CSV(Creative Shared Value)처럼 일시적 거품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다. 중요한 것은 책임의식이다.

지구평균 기온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배출 가능한 이산화탄소 허용총량을 탄소예산(Carbon Budget) 이라 한다.

IPCC 작업반 보고서에 의하면 66% 확률로 1.5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탄소예산은 3,600억톤이다. 지금처럼 매년 350억톤을 배출한다면 10년 내 고갈된다는 해석이 나온다.

지구공동체는 이렇게 바닥을 보이는 탄소예산을 어떻게 공평하게 나누고, 자발적으로 감축에 힘쓰고, 전환과정에서 약자를 보호할 것인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최근 국내 기업들이 속속 ESG 도입을 검토하면서 관련 교육강좌가 개설되고 표준화 움직임도 보인다. 그런데 진정성에 입각한 실천이 없다면 자칫 책임회피용 쇼(show)로 보일 수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배출권거래제 3차 계획기간(2021~2025)중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투자계획이 없다는 기업의 비율은 무려 64%에 달했다. 투자는 없고, 실적은 보이고 싶다는 모순이 드러난 것이다.

‘ESG 경영’은 기업이 기후변화 문제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한다.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전략 실천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를 감소시키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련의 반복 과정이다.

기업에게는 큰 부담이지만, 제대로 한다면 기회가 될 수 있다. ESG는 궁극적 목표가 아니다. 지속가능한 지구촌 사회로의 전환을 이끄는 수단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