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설 정보관 만들고 온라인 정보 시스템 구축해야

기후위기를 알리는 각종 현상들이 지구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최근엔 미국에서 초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다.

지난달 30일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카운티 주택가에서 발생한 불은 시속 160㎞의 강풍을 타고 1000여 채의 주택을 잿더미로 만들었고, 인명피해까지 발생했다.

건조한 기후가 장기간 계속됐고 이어진 가뭄으로 인해 이번 화재의 피해가 커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아직 한반도에서는 이렇다 할 특별한 기후위기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계속해서 문제가 없으면 다행이겠지만 그럴 확률은 별로 없어 보인다.

오히려 쌓이고 쌓인 문제들이 한꺼번에 터지지는 않을지 염려스럽다. 서울과 수도권에 드리운 넓은 면적의 산자락에는 가을철 수많은 낙엽이 수북이 쌓인다.

비가 오지 않아 건조한 상황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만에 하나 산불이 일어나고 강풍을 맞는다면 끔찍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산림방재 당국은 주의를 당부하지만 가시적인 특단의 예방대책은 없다.

산불진압용 헬기도 늘리고, 자원소방대도 모집하고, 비상 대피계획도 세우는 등 미리 준비할 일들이 산적한데도 실천은 보이질 않는다. 우리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한 가지 사례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기후변화를 대비해 이름 붙여 활동 중인 각종 위원회들이 과연 국민, 시민을 대신할 대표성이 있는지 의문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선발되고 충분한 권한을 위임받고 있는 지도 의문이다.

국민들에게 우리가 겪고 있고, 곧 겪게 될 한반도 기후위기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먼 나라에서나 벌어지고, 나하고는 상관없는 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의 한 산하기관 로비에 2100년도 한반도의 기후변화를 알리는 알림판이 있다. ‘5.7℃가 상승하며 전국이 아열대 기후로 이동한다’는 경고다.

그리고 그 밑에는 ‘기상이변 및 재해발생 증가’라는 설명이 붙어있다. 누가봐도 ‘좀 더워지나 보다, 달라지나 보다’ 이상의 경고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 이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기후정의의 시작은 절차적 정의다. 바른 정보를 지속적으로 국민에 제공하고, 절차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해야 소통하고 신뢰를 쌓을 수 있다.

기후위기 정보는 국민들이 고통 분담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납득할 수 있는 수준까지 충분히 계속 제공돼야 한다. 전문가 몇 사람이 이해하기 힘든 용어로 설명 몇 번 한다고 이해될 사안이 아니다.

정부와 지자체가 할 일도 하면서 모든 방법을 동원해 국민의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한다. 기초지자체 본청 입구마다 한반도의 기후위기로 벌어질 수 있는 피해를 경고하는 상설전시관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상황에 따라 대처할 방법들, 피난장소 등 필수정보들을 제공해야 한다. 지자체별로 누리집을 이용해 24시간 정보들을 알리고 개인별 대처 방법들도 교육 훈련할 필요가 있다.

비상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경우까지도 대비한 대응방안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기후위기를 애써 무시하고, 대응에도 딴전 피우다가 적응 타이밍까지 다 놓치면 정말 큰 일이 벌어질 수 있다. 기후위기는 이미 시작됐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