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산업계·국민 힘 모아 위기극복할 등대 삼아야

’RE100(알이백)’은 ‘재생가능 에너지(Renewable Energy) 100%’라는 의미다. 영국의 한 민간단체가 2014년 캠페인을 시작하며 붙인 이름이다.

기업들이 제품 제조 등에 사용하는 전력을 205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 약속하자는 것이다.

법적 의무는 없지만, 기후위기를 우려하는 소비자들의 강력한 요구로 인해 이미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국적기업들이 ’RE100’을 선포하고 실천에 들어갔다.

이 용어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었다.

그런데 지난 3일 대통령 후보 4인의 TV 토론회에서 갑자기 대중들에게 다가왔다. 당시 지상파 3사가 생중계한 토론 시청률의 합은 39%, 방송사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된 토론회는 합계 300만대 조회 수를 기록했다.

방송을 지켜본 사람들은 남녀노소 없이 ’RE100‘이 뭔지 궁금해했고, 여기저기 관련 자료를 뒤져보기도 했다.

’RE100‘은 갑자기 스타가 된 것이다. 정치적 배경이나 특정 후보에 대한 공격 여부를 떠나 수백억원 이상의 홍보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국민들에게 생소한 용어를 이렇게 단시간에 각인시키고 전파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런 배경에서 아쉬움이 큰 용어가 있다. 너무나 중요하면서도 지난 수십년이 지나도록 국민에게 가까이 다가가지 못했던 ’지속가능발전‘이다.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은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열린 세계환경개발회의에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 보고서를 통해 알려졌다.

미래 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끊임없는 개발은 결국 인류를 망칠 수 있다는 자각을 통해 어렵게 얻어낸 귀중한 합의였다. 지속가능발전 담론은 시대적 조류와 국제사회 공동의 노력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2015년 UN총회에서는 2030년까지 추구해야 할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설정했다.

우리나라는 2000년부터 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운영하면서 4차에 걸친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을 심의하고, 2018년에는 국내 실정을 반영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수립했다.

그런데 여전히 기업들과 국민들에게는 생소하며, 남의 일처럼 보인다. 세계적인 판데믹, 기후위기와 자연재해, 경제위기, 생물다양성 감소 등 총체적 위기의 시대에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역할과 중요성은 막중하다.

환경·경제·사회 전 분야의 균형있는 발전을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는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가 직면할 수많은 위기를 극복할 등대가 될 수 있다.

올해 7월 ‘지속가능발전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정부, 산업계, 시민단체 등 모든 국민들의 관심과 협조가 절실하다.

다음 대선 토론회에서 또 누군가 ‘지속가능발전 아느냐’고 질문해주기를 기대해야 할까.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