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자원 효율 제고, 오염물질 최소화, 온실가스 저감 설비 설치
중소·중견 제조기업 ‘ESG 경영’ 실천·정착 지원··· 대내외 경쟁력 강화

이제원 환경기술연구소 소장은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으로 중소·중견 기업의 친환경 제조공장 선도모델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박선영 기자
이제원 환경기술연구소 소장은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으로 중소·중견 기업의 친환경 제조공장 선도모델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박선영 기자

[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오염배출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소·중견 제조공장을 녹색 공간으로 전환하는 친환경 제조공장 선도모델을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로비에서 만난 환경기술연구소 이제원 소장은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 소개로 인사를 대신했다.

이제원 환경기술연구소 소장과의 인터뷰를 위해 연구소를 찾은 날은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 접수 마지막 날이었다. 퇴근 시간이 가까운 때였지만, 연구소 복도는 접수 서류를 제출하고 안내상담을 위한 직원들로 분주했다.

2020년 시작된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은 제조업 공장의 오염물질 최소화, 온실가스 저감, 에너지·자원 효율 제고, 스마트 시설 구축을 도모하는 컨설팅, 설비설치·개선을 지원한다.

이제원 소장은 “우리나라의 제조업체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생산설비 부문에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다”며 “특히 시스템 구축에 비용이 많이 드는 에너지 과잉소비와 재활용 시스템 부분을 집중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탄소중립 시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대기업만의 전유물이 아니며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ESG 경영을 중소·중견기업도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 이제원 소장을 인천 서구 환경산업연구단지 내 환경기술연구소 집무실에서 만났다.

폐기물로 버려지는 스크랩(철조각)을 너트로 만드는 설비 설치를 지원받아 처리비를 줄이고 새로 만든 너트로 수익도 올린 스마트 생태공장 지원 업체 사례 /사진제공=환경기술연구소
폐기물로 버려지는 스크랩(철조각)을 너트로 만드는 설비 설치를 지원받아 처리비를 줄이고 새로 만든 너트로 수익도 올린 스마트 생태공장 지원 업체 사례 /사진제공=환경기술연구소

친환경 제조공장 선도모델 구축

한국의 주요 산업은 제조업이다. 원자재를 가공해 완성품이나 부품을 만들어 공급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써야 하고 다양한 화학물질과 산업 쓰레기를 배출한다. 최근 주요국들의 탄소중립 선언 동참은 제조업 규제로 이어졌다.

국내 대기업은 이런 추세 속에서 ESG 경영을 선언하고 생산시설 교체와 탄소,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하는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반면 중소·중견기업은 비용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변화를 따라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소장은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은 설비 한 부분만을 교체해 주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장의 온실가스, 수질, 자원을 포함한 10가지 항목을 복합적으로 연계해 친환경 공장을 구축하는 사업인 만큼 사업이 단기적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 이어 나가 ESG 경영을 실천하려는 국내 제조업체에 선도모델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환경공단 안병옥 이사장은 본지와의 지난 인터뷰(2022년 3월7일 자)에서 “탄소중립 시대를 여는 핵심 열쇠로 ESG 경영을 첫손에 꼽고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까지 ESG 경영이 정착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환경기술연구소가 환경부로부터 위임받아 시행 중인 스마트 생태공장은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한 축인 그린뉴딜 3대 분야 중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산업’에 포함된다.

1차 처리된 재활용 플라스틱 플레이크를 재선별하는 설비를 설치해 제품의 고순도화를 이뤄낸 스마트 생태공장 지원 업체 사례 /사진제공=환경기술연구소
1차 처리된 재활용 플라스틱 플레이크를 재선별하는 설비를 설치해 제품의 고순도화를 이뤄낸 스마트 생태공장 지원 업체 사례 /사진제공=환경기술연구소

2020년 11개소에 100억원이 투입되며 시작된 사업은 지난해 31개소로 확대됐다. 투자금은 300억원으로 늘었다. 올해는 60개소 600억원 규모로 운영된다.

공모·선정위원회를 통해 사업자 선정이 이뤄지며, 선정 평가 기준은 정책 부합성, 효과성, 경제성, 파급효과 등이다. 중소기업은 60%, 중견기업은 50%의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며, 최대 10억원까지 지원된다. 지원 분야는 오염물질 저감, 자원순환, 온실가스 저감, 에너지 절감(생산공정 외), 스마트 시설(생산공정 외), 악취 저감, 소음, 진동 저감, 스마트시스템 등이다.

올해 완료될 사업이지만 선정 업체 호응과 실적이 좋아 지속사업으로 건의 중이다. 지난해까지 참가업체를 대상으로 자원순환 증대 189%, 온실가스 저감 49%, 오염저감 54%의 환경개선 성과를 만들어 냈다. 2020년에는 한국정보화진흥원 우수과제로 선정됐다.

업종·공정별로 그동안의 사업성과를 분석하고 롤모델을 만들어 다른 중소·중견 제조업체들도 이를 따라갈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이다.

“제조업체가 장기적으로 국내 실적을 넘어 수출로 활로를 열기 위해서는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온실가스·에너지 저감을 구현하고 있는 세계경제 패러다임을 따라가야 한다”고 밝힌 이 소장은 “스마트 생태공장 사업으로 만든 온실가스 저감, 일자리 창출을 포함한 다양한 사업 성과가 18만 개에 이르는 국내 제조업체에 참조가 되기 위해서는 3년간 시행한 데이터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는 ”수출 주도국가인 우리나라에서 중소·중견 제조업체의 대외 경쟁력을 높이는 스마트 생태공장이 지속사업으로 이어져 2050 탄소중립 실현에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실제 스마트 생태공장 사업 내용에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설비 설치와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지원이 포함돼 기업 입장에서는 원가절감에 도움이 되고, 탄소 저감도 이룰 수 있어 대내외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했다.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에 지원서류를 접수하기 위해 환경기술연구소 직원과 상담 중인 모습 /사진=박선영 기자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에 지원서류를 접수하기 위해 환경기술연구소 직원과 상담 중인 모습 /사진=박선영 기자

빅데이터 활용한 ‘AI 운영 고도화’ 과제

이 소장은 올해 집중할 연구소 과제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AI(인공지능) 운영의 고도화’를 제시했다.

환경기술연구소는 2017년 개소한 이래 4차산업에 대응하는 환경 기초시설 운영개선, 환경공단이 사업수행 과정에서 취득한 경험과 기술을 산업 발전과 연계하는 업무를 주로 수행해 왔다.

올해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생태공장 시행과 동시에 인력 중심 하수도 관리를 시스템이 맡도록 하는 ‘스마트 하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에 전력할 계획이다. 하수도 운영을 AI가 모니터링하며 학습해 수집된 데이터와 비교, 현재 상태와 문제가 있는 부분은 운영자에게 시그널을 보내는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환경공단에 쌓인 빅데이터를 분석·활용하기 위한 업무도 선도적으로 추진한다. AI가 환경부 산하 기관의 업무 데이터를 분석해 시행이 필요한 주요 과제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사업도 계획 중이다.

이제원 소장은 ”연구소는 설립 후 몇 년간 단기과제를 중점적으로 시행해 왔지만 장기적으로 인력체계를 구축해 탄소중립 R&D 사업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