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로 빨라진 에너지 전환··· 결국은 친환경 전력원 확보가 답

[환경일보]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유럽이 에너지 대란을 겪으면서 ‘에너지 안보’를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유럽연합(EU) 국가들은 천연가스를 징검다리 삼아 화석연료를 퇴출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그에 따른 제재로 유럽 지역에 러시아산 천연가스가 제대로 공급되기 어려워졌다.

탄소중립보다 러시아로부터 에너지 독립이 시급한 과제가 된 것이다. 이를 실현하려면 향후 몇 개월 내 대체 가스 공급원을 확보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중장기적으로 친환경 전력원을 두 배로 늘려야 한다.

물론 EU 내에서도 어려운 일이라며 원자력을 재가동하자는 목소리도 있다. 그런데도 EU는 어렵고도 현명한 선택을 했다. 풍력과 태양광 발전 용량을 2030년까지 지금의 3배 이상으로 늘리기로 한 것이다. 바이오메탄 에너지 사용을 늘리고, 재생가능 수소 등의 수입도 확대하기로 했다.

우리는 현재 탄소 제로 경제에 진입했다. 탄소를 줄여야 경제가 살아나는 시대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 한국의 대응은 더딘 편이다. 중국은 베이징이 주도하는 일대일로를 통해 청정 기술의 주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전 세계의 에너지와 텔레콤, 운송 부문을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고 탈탄소화를 향한 국가의 행보를 가속해야 한다. 과거 조선업과 반도체가 한국전쟁 후 한국의 경제를 일으켜 세웠다면, 현재 재생에너지가 미래 경제를 좌우할 티핑포인트로 작용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에너지 믹스 정책을 물론, 공유 경제를 활용한 인프라 구축에 공을 들여야 한다. 우선 한국은 지형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확장적으로 짓기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외국에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인프라는 재생에너지 세상에 공장과 농장, 차량을 갖추는 핵심 요소다. 특히 석탄에 의존하는 지역사회는 풍력과 태양력과 같은 대체 에너지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여전히 피해를 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지역사회에도 희망이 있다. 재생에너지는 지역사회에도 경제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인프라만 갖추면 말이다. 분산형, 오픈소스, 글로컬, 그린 등의 키워드로 견실하고 달성 가능한 에너지 정책을 계획할 때다.

우리는 그간 환경보호보다 경제부흥이라는 단어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해 왔다.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은 이제 환경문제가 아닌 ‘먹고 사는 문제’다. 재생에너지로의 전환과 함께, 에너지 소유권을 접근권으로 대체하는 패러다임 전환도 하루빨리 이뤄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