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자체별 정책 다양, 본인에 맞는 귀농귀촌 지원책 꼼꼼히 살펴야
정착 전 지역 살아보기 프로그램 및 농업·일자리 체험, 멘토 상담 권장

귀농귀촌인을 위한 다양한 현실적인 조언과 간접체험을 한자리에서 경험해 볼 수 있는 ‘2022 케이팜 귀농귀촌·농업 박람회’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주최, (주)메쎄이상 주관으로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개최됐다. /사진=박선영 기자
귀농귀촌인을 위한 다양한 현실적인 조언과 간접 체험을 한자리에서 경험해 볼 수 있는 ‘2022 케이팜 귀농귀촌·농업 박람회’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주최, (주)메쎄이상 주관으로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개최됐다. /사진=박선영 기자

[킨텍스=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농촌·농업에 대한 이해 부족, 현지 주민과의 갈등, 귀농지역에 맞지 않는 작목 선택, 토지·주택구입을 위한 과다 지출 등 귀농귀촌인들은 정착 초기 단계부터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다.

각 지자체는 귀농귀촌 교육 이수를 필수로 하는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지역별 귀농귀촌센터 멘토들은 수입이 안정될 수 있도록 농산물 판로를 찾고, 정착에 필요한 초기 자본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제시한다. 농사를 짓지 않는 청년이라면 취업 전까지 일정기간 생계비를 지급받을 수 있다. 농업 관련 창업이나 결혼·출산을 했다면 얼마간의 축하금이 지급된다. 대부분의 농촌에서 귀농귀촌인과 주민간 화합을 위해 비용을 보조한다. 지역민과 동아리를 만들면 200만원 상당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곳도 많아졌다.

이처럼 귀농귀촌 시 고려 사항과 각 지자체별 지원 내용은 귀농귀촌박람회, 귀농귀촌센터, 지자체 귀농 협의회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귀농귀촌인을 위한 다양한 현실적인 조언과 간접체험을 한자리에서 경험해 볼 수 있는 ‘2022 케이팜(K-FARM) 귀농귀촌·농업 박람회’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주최, (주)메쎄이상 주관으로 4월28일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개최됐다.

박람회에는 최근 귀농귀촌 인구와 관련 부서 업무가 증가한 경기도, 전북, 전남, 강원도 귀농귀촌지원센터와 관계 지역 홍보 부스가 마련됐다. 스마트팜 ICT(정보통신기술)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사)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는 참관객에게 최신 농업 ICT, AI(인공지능) 정보를 제공했다.

장현우 전북 농어촌종합지원센터 귀농귀촌부 부장은 “귀농귀촌은 삶을 전환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본인의 철학과 신념을 가지고 지자체별 농업인건강보험료, 복지지원 등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며 “귀농을 결심했다면 초기 소득 불안을 극복할 수 있는 작목과 이에 적합한 지역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람회에서 귀농귀촌 상담서비스 멘토들은 공통적으로 “이상적인 생각만으로 이주하기에 농촌은 도시민에게 생각보다 더 가혹할 곳일 수 있다. 무리하게 토지를 먼저 구입하거나 고비용이 수반되는 귀농귀촌은 지양해야 한다”고 전했다. 농촌은 사업투자 대비 자금순환이 느려 시간차별 투자 대비 수익 분석으로 안정적인 사업 설계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또, 멘토들은 농촌은 도시에 비해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착지 결정 이전에 ‘지역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통해 공공기관, 학교, 병원 등을 경험해 볼 것을 권장했다.

각 지자체, 인구 고령화 대응 귀농귀촌 정책 확대

“농촌은 도시민에게 더 가혹한 곳일 수도”
고비용 귀농
·귀촌 지양, 안정적 사업 설계 필요

경기도 귀농귀촌지원센터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경기도 귀농귀촌지원센터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귀농귀촌인 재능 살리고 ‘행복멘토’ 운영, 경기도

2020년 귀촌인구가 29.4%(귀농어·귀촌인 통계청 통계)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던 경기도는 귀촌인의 재능을 적극 활용해 정착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상담이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이윤경 경기도귀농귀촌지원센터 멘토는 “경기도는 도시지역에서 농촌지역으로 전입한 만 5년 이내 전입자를 대상으로 재능운영 계획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며 “지역주민들에게 영어 강습, 보일러·에어컨 수리 등으로 도움을 주고 인건비를 지급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2017년 1월 설립된 경기도귀농귀촌지원센터는 귀농귀촌 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각 분야 전문가가 귀농귀촌인을 위한 멘토가 되는 행복멘토 상담서비스 ‘멘토링데이’를 운영한다. 1인당 최대 5회 신청 가능하며 비용은 들지 않는다. 상담은 교육, 정착지원 등 단계별로 진행된다. 농장 방문을 통해 현장밀착형 1:1 상담지도와 실습도 이뤄진다. 5월에서 11월에는 텃밭 만들기, 김장나눔 등 지역주민이 어울리는 지역 발전 공동체 활동이 펼쳐진다.

경기도는 귀농귀촌을 앞둔 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1년 동안 임시 거처와 밭을 제공한다. 귀농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귀농인의 집(화성시, 여주시)을 운영 중이며, 임대료는 연 180만원이다.

전라북도 귀농귀촌지원센터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전라북도 귀농귀촌지원센터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청년 귀농귀촌인 정책 풍부, 전북

2020년 기준 귀농가구 비중이 12%(귀촌은 4.3%)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전북에서는 완주군, 익산시, 무주군, 순창군, 부안군이 부스를 마련해 귀농귀촌 상담을 진행했다.

전북 완주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전북 완주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10여 년 전부터 청년의 귀농귀촌을 지원해 온 완주군은 지역 거주 청년과 청년 귀농귀촌인을 위한 정책이 풍부하다. 2020년 완주군으로 귀농한 4793명 중 40대 이하 청년층이 60%를 차지했다. 완주군으로 이사하면 최대 50만원까지 지급받을 수 있으며, 귀농 및 영농 관련 교육을 이수하면 30만원을 지원받는다.

전국 최초로 청년기본조례를 제정한 완주군은 군단위로는 처음으로 청년전담팀을 신설했다. 청년 창업공동체, 마을공동체, 협동조합, 영농조합 등에서 일 경험을 지원하고 정착을 돕는다. 이 중 청년 창업공동체(3인 이상)에는 연간 최대 1000만원이 지원(3년)된다.

다수가 한집에 살며 거실과 화장실을 공유하는 청년 쉐어하우스에는 최대 2년간 주거가 가능하다. 현재 완주군 내 8개소가 있다. 사용료는 월 5만원이다. 게스트하우스에 살며 완주를 알아가는 ‘완주청년 한 달 살기(자부담 1일 5000원, 월 5만원)’와 농업·중소기업·문화예술 종사 청년에게 매달 30만원(12개월)을 지원하는 ‘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 등의 청년 정착지원 프로그램도 돋보인다.

완주군 귀농귀촌지원센터는 예비 귀농귀촌인들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농림부 귀농귀촌 유치 지원사업 중 하나인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운영한다. 농촌에서 살아보기는 귀농형, 귀촌형, 프로젝트 참여형 3가지다. 완주군은 현재 프로젝트 참여형으로 선발돼 도시 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귀농귀촌 교육 및 마을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또한 센터는 완주 생활의 길잡이가 될 멘토 서비스도 제공한다. 귀농귀촌인을 위한 마을환영 행사도 연다. 군 특성을 살려 기업 일자리와 사회적 경제 일자리 등을 발굴하고 취업을 돕는다. 면접 대상자에게는 1회당 3만원(최대 2회)이 지급된다. 완주군 로컬JOB센터에서는 지역농가와 구직자를 연계해 주고, 교통비(인당 8000원)와 식비(중식비 6000원, 간식비 3000원)을 지원한다.

전북 익산시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전북 익산시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익산시는 귀농귀촌 전 지정된 곳에서 농촌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활성화했다. 농촌체험마을에서 최대 6개월간 거주 가능하며, 마을에서 준비한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매월 15일 이상 참여 시 월 30만원의 연수비가 지급된다. 체험마을 숙박시설 이용요금은 하루 최대 25000원이 지원(50%)된다. 이 밖에 귀농귀촌 게스트하우스, 1년간 지정된 마을에서 거주해 보는 영농준비 귀농인의 집, 귀농귀촌 준비를 위한 단체 체류 프로그램이 있다.

만 70세 이하 귀농인에게는 주택수리비 1000만원이 지원되며, 귀농인 소득사업 및 생산기반 지원비 2000만원(보조 50%)을 받을 수 있다. 만 49세 이하 귀농인은 1800만원(보조 80%)까지 지원받는다. 귀농귀촌 환영행사비는 마을이장 신청으로 최대 7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귀농귀촌인 및 현지 주민으로 구성된 동아리에는 200만원의 동아리 활동비가 지급된다.

전북 무주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전북 무주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무주군 인구 2만3745명(2022년 4월 기준) 중 약 10%는 귀농귀촌 인구다. 31%는 65세 이상이다. 인구 고령화가 심각한 이 지역에 최근 청년 인구가 늘고 있다. 현지인들과 어울리며 취미나 문화생활을 즐기는 귀촌인들이 늘고, 무주군 도시재생 추진 사업이 시작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지난해 무주군은 지역 5개 동아리에 각 200만원(강사비, 재료비, 교재구입비)을 지원했다.

(사)무주군귀농귀촌협의회는 청년 인구를 더욱 늘리고, 귀농귀촌인 정착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협의회는 도시민교육상담, 농산업창업교육, 무주군을 알리는 박람회 참가, 귀농귀촌 교육, 선진지 견학, 예비귀농인 학습, 마을융화교육, 농촌에서 살아보기, 멘토 컨설팅, 동아리활동, 농지정보구축사업을 진행한다.

지난해 7월에는 무주군 도시재생 상생멘토단도 출범했다. 이곳에서는 창업에 필요한 교육, 유통, 마케팅 지원 등 예비 창업인들을 위한 밀착 멘토링이 진행된다.

전북 순창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전북 순창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전통 방식으로 빚어 만든 고추장으로 유명한 순창군에는 귀농귀촌인과 마을사람들이 함께 운영하는 장 만들기 모임이 있다. 장류 고장답게 고추·콩 재배지원, 유통장려금, 재배기술 지원도 받을 수 있다. 달팽이 농장, 커피농장 등의 농장창업 성공 사례도 있다. 농장창업에 필요한 기계, 장비는 소득지원사업을 통해 보조받을 수 있다.

‘순창에서 한달 살아보기’는 순창군 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계에서 주관하는 대표적인 순창군 체험 프로그램이다. 농산물 수확 체험, 체재형 가족실습농장, 고추장 만들기를 체험할 수 있다. 숙박시설은 무료(생활비는 자부담)이며, 체험 프로그램 활동비, 순창군민 무료 입장 시설에 한해 관내 관광지 무료 탐방이 가능하다.

‘순창 1년 살아보기’를 위한 임시거주지도 운영된다. 2인 이상 직계 가족이 전입신고 후 실제 거주하며 주택 신축 시 550만원, 주택을 구입해 수리할 경우 500만원, 귀농인이 집을 지으면 설계비로 400만원이 지원된다. 5년 이상 임차해 수리할 경우 500만원을 지원받는다.

(사)귀농귀촌협의회를 통해 마을 화합을 유도하는 집들이비, 이사비도 지원된다. 2인 이상 전입 시 50만원 한도로 마을회관과 자택, 순창군 내 식당에서 집들이를 할 수 있다. 영농활동을 하고 있는 귀농인에게는 사업에 필요한 사업비 2000만원 중 50%가 지원되며, 49세 이하 귀농귀촌인이라면 정착비 200만원을 지원받는다.

신생아 출생일을 기준으로 신생아의 부모 또는 모가 순창군에 주소를 두고 실제 거주한다면 출산장려금 혜택도 누릴 수 있다. 첫째아이 300만원, 둘째아이 460만원, 셋째아이 1000만원, 넷째아이는 15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결혼장려금 500만원(만 18세~49세 이하)은 순창군의 대표적 복지 정책이다.

전북 부안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전북 부안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2023년 8월 새만금 세계 잼버리대회가 열리고, 군산, 김제, 부안을 연결하는 새만금도로가 2020년 개통된 부안은 과거보다 타 지역과의 심리적 거리가 줄며,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무녀도, 선유도, 신시도 등 차로 갈 수 있는 해안섬들이 늘어 관광객도 증가했다. 퇴직 후 부안군 마을 풍경을 즐기기 위해 귀촌하거나, 뽕, 오디, 블루베리 등의 부안군 대표작물을 재배하는 60대 귀농인도 늘었다.

도시지역 거주자가 부안군에 거주하고 1개월이 지나면 가구당 50만원(5년 이내 전출시 환수)을 받을 수 있다. 신규 전입 후 3개월 이상 거주하고 농지대장을 취득한 귀농인에게는 가구당 100만원이 지급된다. 전입 후 5년 이내 귀농인이라면 비닐하우스 설치 자금을 1000만원 범위에서 50%를 보조받는다.

신규 귀농인 현장실습 보조사업도 활발하다. 5년 이내 귀농인으로 멘토·멘티 현장실습 대상자는 5개월 범위 내에서 멘티는 80만원을, 멘토는 월 40만원을 받는다. 귀농교육 미이수자는 총 130시간 내에서 영농기초 전문 교육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

귀농인을 위한 거주시설도 제공된다. 귀농교육을 100시간 이상 이수하고 2인 이상 전입한 신규 귀농인은 연 180만원으로 1년간 임시거주가 가능하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예비 귀농인을 대상으로 2박3일 귀농체험교육도 열린다. 교육비는 3만5000원이다. 부안군 관내 전입 후 5년 이내 귀농인은 멘토·멘티 컨설팅 사업 지원 대상이다. 멘토와 연결돼 월 15회 이상 컨설팅을 받으면 멘티에게 월 30만원이 지급된다. 또, 부안에서 4박5일 일정으로 농장체험, 농기계 운전체험 등의 교육을 받으면 귀농교육 36시간으로 인정된다. 교육비는 12만원이다.

귀농인을 위한 주민 화합잔치에 50만원을 보조하고, 5년 이내 귀농인 5인으로 구성된 동아리에는 200만원까지 운영 보조금이 지급된다.

전남 해남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전남 해남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해남군은 2013년~2019년 출산율 전국 1위를 기록했지만, 노인인구 역시 44.2%(2만9677명)를 차지했다. 총면적은 1031.4㎢로 서울의(605㎢) 1.7배다. 농경지는 350.1㎢(33.9%), 임야는 447.9㎢(43.4%)이다. 경지면적과 친환경 인증 면적은 3만5728ha로 전국 최대 규모다. 배추, 고구마, 호박이 대표 작물로 재배할 수 있는 작물 선택 폭이 넓다.

해남군의 귀농정책은 해남군귀촌희망센터에서 진행한다. 귀농 예정자와 귀농인이 대상인 ‘귀농인을 위한 집’은 연중 운영되며, 임차기간(34㎡-10만원 보증금 60만원, 50㎡-15만원 보증금 90만원)은 6개월 이내다. 현재 주택 7동으로 구성된 이곳에는 싱크대, TV, 에어컨, 냉장고, 가스레인지, 옷장 등 생활용품들이 비치됐다. 관내 이사 시 70만원 한도로 이사 차량 임차 및 관련 비용을 받을 수 있다. 귀농어귀촌인 농가주택 수리비는 세대당 500만원 한도에서 받을 수 있다.

귀농영농교육을 100시간 이상 이수하면 창업 시 300만원을 지원(귀어교육은 35시간 이수) 받는다. 귀농어업인에게는 영농영어창업자금으로 세대당 100만원의 종자상품권이 지원된다. 귀농어업인 및 귀촌인의 초중고 자녀는 1명당 50만원의 학자금을 받을 수 있다. 해남 관내 거주 청년 18~49세 청년이면서 가구소득 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라면 1인당 월 10만원씩 연 최대 100만원을 지원(생애 3회) 받을 수 있다.

전남 광양시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전남 광양시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광양시에서 연 1억 이상 소득을 올리는 농업인 중 채소를 재배하는 농업인의 비율은 76%에 달한다. 과거 광양시 농가 연 소득 비중은 매실이 가장 컸지만, 현재는 스마트팜 시설하우스를 활용한 양상추, 애호박, 파프리카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품목별 생산량과 판매수익을 보면 양상추를 가장 많이 키우고 수입도 가장 높다. 그다음이 매실, 애호박, 쌀, 떪은감, 단감순이다. 파프리카는 최근 재배농가가 꾸준히 늘고 있다.

스마트팜 시설하우스 신규설치에 필요한 기술과 비용을 지원하는 농업분야 ICT(정보통신기술) 융복합 사업을 진행해 온 결과다. 매실은 여전히 재배 비중이 높지만 2016년 1628ha로 정점을 찍은 후 점차 재배면적이 줄고 있다. 2020년에는 1416ha였다. 농사가 어려운 귀농귀촌인을 위한 유럽형 샐러드 재배 설비를 비용을 받고 대여하는 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도시에서 1년 이상 농업 이외 산업에 종사하다 광양시 농어촌지역으로 농업을 목적으로 이주했거나, 농업을 주업으로 하지 않는 예비 귀농귀촌인은 무상 또는 15만원 이내에서 살아보기가 가능한 주택을 임대할 수 있다. 농산어촌체험마을, 한옥마을, 일반마을에서 최대 6개월간 농어촌 일자리 등을 체험하고 주민과 교류해 볼 수 있다.

귀농인이 생산한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장터도 운영된다. 광양시귀농어귀촌협회 회원(회원수 400명)이라면 500만원 이내에서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선도농가·귀농인 현장실습 교육을 통해 선도농가는 월 40만원, 귀농 연수생은 월 80만원을 받을 수 있다.

강원도 양양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강원도 양양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지역특성 살린 복지제공, 강원도

2020년 전국귀농인 중 7.5%(귀촌인은 6.9%)가 강원도로 향했다. 전국 17개 시·도광역시 중 경북(17.9%), 전남(18.8%), 전북(12%), 경남(10.7%), 충남(11.9%), 경기(8.9%)에 이은 순위(최하위는 0.3%의 부산)다.

강원도 18개 시군 중 양양군은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인구가 증가했다. 전원주택단지와 대규모 개발사업이 이어지고, 정주조건도 개선된다면 인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양양군은 인구가 늘고 있지만, 귀농보다는 귀촌을 선호하는 경향이 더 많다. 감자, 옥수수 등의 작물은 소득이 크지 않아 초기 정착을 위한 소득작물로는 선택이 어렵고 일정 규모 소득을 올리기 위해서는 땅 구매도 필요해서다. 대신 순수하게 자연이 좋아 정착을 원하는 귀촌인구가 더 많이 증가하고 있다. 양양군은 총길이 40km에 이르는 21개 해변이 이어져 있고, 이 바닷길에는 낙산사, 하조대, 휴휴암 등 자연과 유적이 많다. 서에는 설악산, 동에는 해변, 남쪽으로는 1급수 청정 계곡이 모여 있다. 북으로는 낙산사, 진진사지터 등 국보사적들과 전통시장이 있다.

최근 웰빙붐을 타고 유기농 시장이 커지면서 양양군의 맛좋고, 영양 높은 표고버섯과 느타리버섯이 주목받고 있다. 귀농인들은 버섯 포장비 지원과 농업창업자금을 융자받을 수 있으며, 작목반을 통해 재배기술과 유통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귀촌인(도시에서 이주한 2인 이상 세대, 귀농인 포함)은 최대 100만원까지 이사비용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주택수리, 주택설계 비용도 지원된다. 귀농귀촌인 포함, 양양군민이 첫째 아이를 출산한다면 축하금 100만원(1년간 월 10만원), 둘째는 1년간 20만원, 셋째는 2년간 30만원, 넷째는 3년간 월 50만원이 지급된다.

매년 4월에서 10월까지 도시민을 대상으로 열리는 귀농귀촌 아카데미를 통해 양양군 귀농귀촌 우수사례, 지원정책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선도농가 영농기술 교육은 양양군 이주 5년 이내 귀농인을 대상으로 최대 7개월간(월 20일) 진행된다. 연수생에게는 월 80만원이 지급된다. 귀농인 정착지원금은 1년차 월 80만원, 2년차는 50만원이 지급된다.

강원도 영양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강원도 영양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영양군에 전입신고 후 3년 이내 가족이 영농에 종사했다면 농업 및 축산분야 시설확충, 개보수, 농기계 구입, 비닐하우스 설치 시 세대당 500만원(자부담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신청은 매년 1월 읍·면사무소에서 받는다. 건축물관리대장에 본인 소유의 주택수리를 원한다면 세대당 500만원(자부담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신청 시기는 매년 1월이다.

영양군에 귀농 후 농업외 소득이 3700만원 이하라면 자녀나 직접 부양하는 손자녀, 조카, 동생에게 고등학교 입학금 전액과 수업료가 지원된다. 매년 1월 신청을 받는다. 영양군 귀농학교는 매년 10월 초 영양군 수비면 청소년 수련원에서 열린다. 참가비는 보조금 80%, 본인부담 20%다.

영양군의 출산 지원금은 첫째는 월 10만원씩 3년, 둘째는 15만원씩 3년, 셋째부터는 월 20만원씩 5년간 받을 수 있다.

강원도 홍천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강원도 홍천군 지역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홍천군에서는 청년과 여성농업인의 정착을 돕는 정책이 활발히 시행중이다. 여성농업인에게는 20만원 상당의 바우처카드, 만 18세~만 40세 미만 영농경력(독립경영) 3년 이하 청년농업인에게는 1년차 월 100만원, 2년차 90만원, 3년차 80만원이 정착지원 자금으로 지원된다.

만 40세 미만 청년농업인이나 농업경영체 등록 5년 이내 귀농인이 선도 농장에서 3~7개월간 작목별 현장실습교육을 받으면 최대 월 80만원이 지급된다. 선도농가는 월 40만원을 지원 받는다.

영농에 종사하는 귀농인 중 전입 2년 이내, 20세~45세 이하, 세대원 2명 이상, 귀농영농교육 50시간 이수 등의 조건을 만족하면 귀농인 정착지원금(선정 1년차 월 80만원, 2년차 월 5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전입일 전 1년 이상 농업 미종사자, 도시지역 1년 이상 거주, 주민등록법에 따라 관내 전입신고를 하고 실제 거주하는 사람은 농지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귀농귀촌 홍천군 동네작가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마을 취재, 영상제작 등 정기적으로 귀농귀촌 관련 콘텐츠를 생성하면 콘텐츠 건별로 월 12만원 한도로 작업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사)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사)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부스 /사진=박선영 기자

농업분야 ICT 전문인력 양성, (사)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비닐하우스·축사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사용은 일반화됐다. 원격·자동으로 작물·가축 농장의 생육환경이 적정하게 유지·관리된다.

이렇게 디지털 전환 시대에 발맞춰 변화한 농촌에서 필요한 스마트팜 ICT를 만드는 기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사)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는 여러 과정의 교육을 진행 중이다.

교육은 센서, 제어기, 풍향 등 스마트팜 기자재, 데이터 활용, 농가 서비스 관련 기술(시설원예)을 익히는 스마트팜 ICT 전문 과정 6개월, 스마트팜 전문기술 및 재직자 맞춤형 기술 교육·활용(시설원예, 축산) 과정 6개월, 스마트팜 ICT기술을 활용한 작목별 생육향상 접목 기술(시설원예)을 8개월간 교육받는 영농기술접목 과정이 있다.

한편, 하반기 케이팜 귀농귀촌·농업 박람회는 오는 10월20일에서 22일까지 수원메쎄에서 열린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