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에 비해 이상하리만치 음주에는 관대한 한국 사회

[환경일보] 하루 평균 13명이 술 때문에 사망하고 사회적 비용은 10조원을 넘는다. 알콜은 흡연과 함께 1군 발암물질이자 중독물질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알콜성 간질환 등 관련 사망자 수는 무려 4809명에 달했다. 하루 평균 13명이 술로 사망한 꼴이다.

연령별 인구 10만명 당 알콜로 인한 사망자는 주로 한창 일할 나이인 30대(2.7명)부터 급증해 50대(22.8명)에 가장 많았다.

2017년 성인의 고위험 음주율(1회 평균 음주량이 7잔(여자는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술을 마시는 분율)은 14.2%로,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하는 등 성인의 문제 음주행태가 여전한 가운데 청소년 음주 역시 심각해지고 있다.

20대 여성의 경우 10명 중 1명이 고위험 음주자였다. 대학생 고위험 음주율은 20.2%로 성인보다 높고, 1회 음주량이 10잔 이상인 경우도 38.4%로 성인(15.0%)의 2.5배나 됐다.

건강보험정책연구원(2015년) 조사결과,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3년 기준 9조4524억원으로 흡연(7조1258억원), 비만(6조7천695억원)보다 많으며, 매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다른 약물은 하는 사람이 이상하고 끊은 사람이 건강한 사림인데, 유독 술만큼은 끊은 사람이 이상하게 보이고 그걸 하는 사람들이 정상으로 보인다.

술을 못 마신다고 하면 사회생활이 어려울 것이라며 혀를 찬다. 우리 사회는 ‘사회생활=술’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중독성 약물을 즐기지 않는 것이 흉이 되는 사회다.

흡연에 대해서도 관대했던 시절이 있었다. 흔히 말하는 쌍팔년도 시절에는 버스 의자 뒷부분에 재떨이가 달려 있었고,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도 없었다. 식당, 술집, 버스 등을 가리지 않고 담배를 피웠고 청소년들의 흡연문제도 심각했다.

그러나 지금은 TV에서 흡연 장면이 사라졌고, 담배를 홍보하는 CF는 찾아볼 수 없다. 대신 흡연의 폐해를 강조하는 각종 홍보물이 넘쳐나고 국가에서 나서 금연을 돕는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흡연에 비해 음주에 대해서는 이상하리만치 관대하다. ‘술을 마시면 기분이 좋다거나 친목 도모와 스트레스 극복에 도움이 된다’고 여기는 비율이 국민의 70%를 넘길 정도로 사회 전체가 술에 관대하다.

담배 포장지에는 흡연으로 인해 망가진 폐와 각종 장기를 여과 없이 표현해 혐오감을 주지만, 술은 톱스타들이 나서 홍보한다.

주류업계는 주류광고 비용으로 2017년 2854억원을 쏟아붓는 등 공격적인 광고·마케팅으로 술 마시는 사회를 조장하고 있다.

최고의 스타를 내세운 광고는 과연 누구를 타켓으로 하는 것일까? 미래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지나친 억측일까?

TV 역시 마찬가지다. 흡연 장면은 엄격하게 걸러내면서도 음주 장면은 무분별하게 내보낸다.

드라마는 물론이고 각종 예능에서도 술은 빠지지 않는 소재다. 고뇌하는 장면에서 술을 마시는 것은 물론 기쁨, 슬픔 등 모든 감정을 보여주는 매개체로 술을 등장시킨다.

즐거워서, 슬퍼서, 힘들어서, 괴로워서, 친목을 다지기 위해 등의 이유는, 알콜 중독자들이 술을 마시기 위해 내세우는 핑계와 정확히 일치한다.

알콜은 중독성 물질이며 개인의 건강은 물론이고 사회 전체를 멍들게 한다. 알콜은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훨씬 많다. 그럼에도 언제까지 우리 사회는 술을 권할 것인가?

키워드

#술 #주류 #음주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