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 교육, ‘환경·에너지 교사’제 필수

환경부가 6월5일 환경의 날을 시작으로 일주일간 환경교육주간을 운영했다.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개정·시행에 따라 처음 도입된 것이다.

국민의 환경보전 의지를 높이고 환경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배우고, 나누고, 즐겨서 좋겠다’는 표어를 내걸고 여러 기관과 단체에서 행사들을 진행했다.

환경부는 누구나 환경을 즐겁게 배우고 나누는 기회를 제공하고, 환경의 중요성과 올바른 실천방안을 배워 탄소중립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환경교육을 더욱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그런데 1년에 한번 이 정도의 행사를 통해 과연 목적한 바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다양한 연령층, 직업군을 대상으로 하는 대국민 상설교육도 필요하다. 그동안 알리지 못했던 다양한 환경이슈들을 제대로 알리고,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실천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무엇보다 가장 우선해야 할 것은 초·중·고등학교 정규 교과목에 환경을 포함시키는 일이다.

이분법적 사고로 경제와 환경을 잘라서 보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경제활동은 환경과 연계되어 있고 지속가능발전을 목표로 조화와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교육해야 한다. 이를 위해 ‘환경·에너지 교사’ 제도 도입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

환경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을 목표로 국민이 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 태도, 가치관 등을 배양하고 실천케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간과 자연 간 올바른 관계를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어린 시절 바른 환경 교육은 평생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라는 지구적 과제 앞에서 더더욱 환경교육의 역할은 중요하다. 지구촌 주민으로 함께 살아가기 위해 어떤 생각과 생활 속 실천이 필요한 지 아이들부터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자유학기제, 진로교과, 소프트웨어교과가 도입되면서 환경교육의 입지는 더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호주 등은 환경교육의 가치를 인정하고 ‘과학과 환경’군, ‘지구환경과학’군, ‘환경과 과학’군을 중학교 3년간 17개 단위로 개설하고 있다.

우리도 ‘환경교육’ 대신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가칭)’으로 이름을 바꾸고 경제·사회·환경을 어우르는 실질적 교육의 도입을 심각하게 검토해야 한다.

올림픽 경기에서 은메달 10개, 동메달 100개를 따도 금메달 1개와는 비교할 수 없다. 환경교육을 제도로 정착시키는 일은 금메달에 비유될 수 있다.

국민에게 환경교육을 상시 제공하고 격려하는 일은 은메달이다. 환경의 날, 환경교육주간에 행사를 개최하는 일은 동메달이다. 은메달, 동메달은 금메달이 있을 때 빛이 난다.

윤석열 대통령은 반도체를 강조하면서 교육에 과학을 접목시킬 것을 지시했다. 환경도 마찬가지다.

경제와 환경, 사회의 조화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을 이뤄 간다면 부정적 요인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가능성을 최대화 해 보다 살기 좋은 대한민국을 추구할 수 있다.

지속적, 반복적, 체계적 환경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교육에 환경을 제대로 접목시키는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