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으로 활용 가치 공감대 형성해야

지구온난화는 현실 경제에 영향을 주는 재무적 위험이다. 이산화탄소를 줄여야 하는 에너지와 운송 업계는 화석연료에서 전기로 동력원을 대체 중이다. 전력의 지속가능한 확보가 곧 경쟁력인 것이다.

그치만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생산은 자연환경에 따라 다르다. 그만큼 정해진 전력을 일정하게 공급받기 힘들다. 재생에너지가 보편화 되기 위해선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의 연계가 필수다. 

ESS에 전기를 저장한 뒤 태양이 비치지 않거나 바람이 약할 때 꺼내 쓰면 전력망의 불안정을 줄일 수 있다. 전력 품질이 떨어질 경우에도 대비가 가능하다. 

ESS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 기관 SNE 리서치는 글로벌 ESS 시장규모가 2019년 11.1GWh(기가와트시)에서 2025년엔 94.2GWh 까지 확대될 걸로 예측했다. 블룸버그NEF는 2030년의 시장규모로 358GWh를 점쳤다. 

이 같은 성장잠재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기술적 불안정에 시달리고 있다. 그간 수차례 화재사고가 터지며 불안을 키웠다. 

ESS는 커다란 배터리로 볼 수 있다. 전력을 계통과 연계하는 장치와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된다. 동작 과정에서 높은 열이 상시 발생하기 때문에 열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단순 부품 결함부터 시스템 전반에까지 문제는 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정부는 제조, 설치, 운영 단계별 안전관리 강화 방침을 내놨다. 신규설비의 충전율 제한을 의무화했으며 ‘ESS 화재안전성 검증센터’를 구축 중이다. 제조사들의 자구적인 노력도 있다. 

관건은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다. 글로벌 성장세를 감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ESS 시장이 활력을 찾아야 우리 또한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속도에 발을 맞출 수 있다. 

국회에 계류 중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다. 분산에너지 체계 구축을 통해 ESS의 활용 가치를 키우자.

분산에너지는 각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해당 지역에 소비하는 방식이다. 그만큼 송·배전망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 부담이 줄어든다. 여기서 아낀 돈을 ESS 활성화를 위해 투자하면 된다. 분산에너지 시스템을 유지하려면 ESS의 수요가 커질 수 밖에 없다는 기대요인도 있다. 

투자는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불러올 것이다. 인증제도를 다듬고 시설인가 과정의 어려움을 해결해야 하며, 계통 연계 기준을 정비해야 하는 과제가 ESS 시장을 둘러싸고 있다. 활용성 확보를 위한 전문가 육성도 필요하다.

전력산업에 대한 변화의 목소리는 크다. 전력 공급 방식이 기존의 화석연료, 원자력 등 대규모 설비 기반에서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 중심의 분산형으로 바뀌어 가고 있으니 거래 시장도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럴려면 담을 그릇이 필요하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ESS 산업이 화재의 후유증을 털어낼 방법도 여기 있다.   

(사)한국에너지학회 파악에 따르면 국내 ESS 산업은 원천기술로 봤을 때 세계 수준의 82~85%, 부품소재는 79~84%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뒤처져 있다는 것이다. ESS의 제 가치를 검토하고 인정하기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