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대전환 현실성 떨어져···‘내연기관’ 탈탄소 활용 가치 봐야
국민 후생 중시 정책 기반 필요, 부처 간 일관된 거버넌스 관건

12일 열린 ‘기후위기·탄소중립 시대 바이오연료의 역할-국제심포지엄’에서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 /사진=최용구 기자  
12일 열린 ‘기후위기·탄소중립 시대 바이오연료의 역할-국제심포지엄’에서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 /사진=최용구 기자  

[포시즌스호텔=환경일보] 최용구 기자 = 12일 열린 ‘기후위기·탄소중립 시대 바이오연료의 역할-국제심포지엄’ 2부 세션에서도 연사들은 바이오연료의 가치에 눈여겨야 하는 이유를 연이어 말했다. 

이기형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는 자동차 시장 속 내연기관의 미래를 전망하며 “2040년에도 상당 규모의 ICE(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기관) 전용 시장이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ICE 전용시장의 점유율이 2030년엔 40%로 떨어지고 대신 ICE/HEV(Hybrid Electronic Vehicle, 하이브리드형)는 80%까지 확대될 수 있다”면서 “자동차 산업이 점차 하이브리드 또는 전동화되어 간다고 해도 ICE 기반의 시스템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을 놓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내연기관을 화석연료라는 꼬리표를 달지 말고 하나의 기계 시스템으로 보자”고 말했다.

향후 자동차 시장 점유율 분포도(BEV=전기차, HEV=하이브리드, ICE=내연기관) /자료출처=BOSCH
향후 자동차 시장 점유율 분포도(BEV=전기차, HEV=하이브리드, ICE=내연기관) /자료출처=BOSCH

이 교수는 “시스템에 먹이는 음식만 바꾸면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데 현재 먹이는 음식(휘발유, 경유)에서 나쁜 배설물(탄소)이 나온다고 이걸 버리는 건 현실적으로 너무 아깝다”고 비유했다.   

상병인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는 “바이오연료가 친환경 운송수단으로의 ‘소프트랜딩’을 도울 것”이라며 “탄소중립 조기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현실 가능한 에너지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영국이 전기차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고 노르웨이 또한 전기차 인센티브를 줄이는 등 최근 유럽의 태도 변화에 주목했다.

상 교수는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다 바꾸는 게 현실적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운송 수단의 전환이 소프트랜딩 할 수 있는 현실적 대응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상병인 교수는 운송 수단에서의 탄소중립을 위한 현실적 시나리오(하단)를 제시했다. /자료=상병인 교수 연구팀 
상병인 교수는 운송 수단에서의 탄소중립을 위한 현실적 시나리오(하단)를 제시했다. /자료=상병인 교수 연구팀 

김재곤 한국석유관리원 연구개발팀장은 “바이오연료는 전 세계적으로 홍보됐으며 운송 부문의 탄소중립을 위해 계속 확장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실 가능한 에너지 다변화 필요 

그는 “바이오연료 활용은 이산화탄소 저감은 물론 에너지 안보 체계 구축, 폐기물에너지 회수 및 농촌개발에도 도움이 된다”며 “농업 잔류물, 유기폐기물에서 나오는 셀룰로오스계 물질, 해조류 등 지속가능한 원료를 통한 바이오연료 생산을 촉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간 해외의 상황도 전해졌다. 이의성 박사(미국 아르곤(Argonne) 연구소)는 “미국은 옥수수 에탄올 생산량 개선으로 전체 CI(Carbon Intensity)가 지속해서 줄고 있다”고 알렸다.

이 박사는 “이 같은 바이오연료를 탄소배출 제로 연료로 여기며 미국은 추가적인 이산화탄소 감축에 나서고 있다”면서 “바이오연료는 탄소 제거가 어려운 분야를 탈탄소화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Rowena Torres 미국곡물협회(USGC) 기술자문가는 “바이오연료의 혼합, 저장, 운송 등에 대한 협회 차원의 수년간 노하우를 한국에도 적극 공유하겠다”며 손을 내밀기도 했다.   

옥수수 원료 기반 바이오에탄올에 따른 미국의 CI(Carbon Intensity) 변화 /자료=Argonne연구소
옥수수 원료 기반 바이오에탄올에 따른 미국의 CI(Carbon Intensity) 변화 /자료=Argonne연구소

패널토론에선 정책적 지원이 화두가 됐다.  김정환 환경부 기후전략과 과장은 “정부 차원의 거버넌스가 중요하다”면서 “현재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 각 부처 공무원들이 나와있으니 탄소 감축의 여러 옵션을 놓고 진지하게 소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민 박사(국회입법조사처 환경노동팀)는 “태양광, 풍력 만이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다변화 차원에서 바이오연료는 반드시 들어와야 한다”며 “바이오연료 활성화 정책이 정권에 관계없이 일관성 있게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방청하던 김영숙 전 국민대학교 과학기술대학 교수는 “기업의 바이오에탄올 R&D(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반짝에 그쳤다”고 토로했다. 그는 “정부 정책이 바뀌며 맥락이 끊어졌다”고 꼬집었다.

탄소 감축, 정책 지속성 확보돼야 

바이오연료의 당위성에 관한 물음표도 일각에선 존재했다. 한 방청객은 “바이오에탄올을 가솔린 대용으로 쓰는 국가들을 보면 자국 내 바이오에탄올 원료 상당량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농업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며 의문을 표했다. 

이에 대해 김학수 USGC 한국사무소 대표는 “‘식량 or 연료’, ‘식량 or 사료’ 같은 논리보단 무엇이 국가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과 소비자의 후생을 높이는가를 정책 판단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해석했다. 

권용주 국민대학교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는 “바이오연료는 탄소 감축의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화석연료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함에 따라 화석연료에 부과되는 유류세가 줄어 국가 재정에 문제가 생긴다는 무책임한 생각을 버려야 한다”며 “에너지 다원화 차원에서 바이오연료는 효과적인 탄소 감축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Rowena Torres USGC 기술자문가는 “바이오연료가 탄소중립의 유일한 해법은 아니지만 해법 가운데 하나임은 분명하다”고 조언했다. 

토론의 좌장을 맡은 김익수 환경일보 편집대표는 “바이오연료는 탄소중립으로 가는 브릿지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우리 모두가 정확한 정보를 투명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패널들은 바이오연료의 제 역할을 위한 일관된 정책에 기대를 모있다. /사진=최용구 기자
패널들은 바이오연료의 제 역할을 위한 일관된 정책에 기대를 모있다. /사진=최용구 기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