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우취약 대도시에 예방기술 통합과 네트워킹 시급

최근 몇 년간 여름철 집중호우로 도시에서 막대한 인명·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난 100년간 전세계 평균 기온의 2배가 상승하고 강우 일수가 14% 감소했는데 우리나라는 다르다는 설명이다.

강우강도는 18% 증가했고, 2011년 7월 서울엔 연간 강수량의 40%에 해당하는 588㎜가 3일 만에 내렸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은 그동안 건물과 도로 중심의 건설로 불투수성 포장면적이 늘면서 단시간 내리는 폭우를 견디지 못해 도로가 침수되고 산사태까지 발생했다.

2011년 광화문 침수, 2012년 우면산 산사태, 2022년 강남역침수 등 대규모 도시재해가 반복되면서 도시방재가 강조되고 있지만, 재난예측 및 방재능력, 대응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지적도 있다.

2000년대의 피해액이 90년대의 3배를 초과하고, 도심지의 홍수 및 산사태 증가, 생활·공업·농업용수 부족, 해안 저지대 범람 등 자연재해도 예상된다.

사전 과학적 분석 및 도시 토탈방재시스템 구축을 위해 도시방재에 관한 정책적 기술적 연구가 필요하다.

서울의 경우, 수해를 유발하는 것은 태풍보다 집중호우인데 같은 서울 내에서도 강우의 지역적 편차가 매우 크다는 사실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설계 용량을 초과하는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 100년 빈도로 충분하던 기준을 이제 500년이나 1000년 빈도로 봐야 할지, 아니면 그보다 더 강화된 별도의 기준을 따라야 할지도 머리를 맞대야 할 대목이다.

기상정보도 국지적으로 세분화하고, 실시간 연계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새로이 할 때다.

최근 다시 논의되고 있는 대심도 지하 빗물 저류배수시설과 관련해서는 한 곳에 대형 저류시설을 만드는 것과 동시에 지역별로 작은 저류시설을 여러 개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학교 운동장 지하나 소규모 공원 지하 등 가능한 모든 곳에서 빗물을 저류할 수 있도록 조례를 개정해야 한다.

기후변화와 극한 기상이변에 따른 집중호우 외에도 폭염, 가뭄과 폭설, 감염병 발병 등에 대비해야 한다.

대형재난으로부터 충격을 흡수 완화하고 신속하게 평상시 상태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도시 회복력(urban resilience)를 확보해야 한다.

행정기관뿐만 아니라 시민, 기업 등 모든 주체들의 역할과 상호협력이 중요하다. 위기관리시스템으로 재난매뉴얼의 현실화와 현장화,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재난의료체계 구축, 업무연속성 관리체계등을 우선 갖춰야 한다.

피해최소화와 만약의 사태 시 신속한 회복을 위해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는 등 제도적 대비가 필요하다. 재난이 경제, 문화, 사회전반과 연계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재난의 유형보다는 재난 대비 기능별 대응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