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지에 갇힌 동물의 자유·권리를 위한 이동통로의 중요성

‘환경부와 에코맘코리아는 생물자원 보전 인식제고를 위한 홍보를 실시함으로써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보전’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정책 추진의 효율성을 위해 ‘생물다양성 녹색기자단’을 운영하고 있다.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발된 ‘생물다양성 녹색기자단’이 직접 기사를 작성해 매월 선정된 기사를 게재한다. <편집자 주>

한반도의 생태축 지도 /자료출처=생태통로 네트워크 홈페이지
한반도의 생태축 지도 /자료출처=생태통로 네트워크 홈페이지

[녹색기자단=환경일보] 임규리 학생기자 = 생태축이란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나 생태적 기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연결하는 서식 공간을 말한다.

생태축은 주요 서식지와 이동 경로 등을 연결하여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 흔하게 볼 수 있는 생태통로 또한 일종의 생태축이라고 할 수 있다.

생태통로는 도로나 댐 등을 건설하며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단절될 가능성이 있을 때 야생동물의 서식지와 이동로를 확보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생태축으로 인해 야생동물들이 안전하게 인근의 서식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생물들의 서식지가 줄어든 현대 사회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한반도 생태축

한반도 생태축으로는 4대 핵심 생태축(백두대간, 비무장지대, 도서연안, 수생태축)과 5대 광역생태축(한강수도권, 태백강원권, 금강충청권, 낙동강영남권, 영산강호남권)이 있다.

1900년대 말부터 백두대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 양측 수평거리 700m를 집중적으로 보호, 복원하는 등의 사업이 시행됐으며, 2002년에 환경부가 처음으로 생태축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2010년에 설정된 3대 핵심축과 5대 광역축이 2015년에 4대 핵심축과 5대 광역축으로 확장되며 현재의 한반도 생태축이 설정됐다.

해양생태축

해양수산부에서도 2018년에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해양생태 네트워크 구현을 목적으로 5개의 핵심 해양생태축 개념을 도입했다.

해양생태축은 해양생물의 주요 서식지와 산란지, 이동 경로, 갯벌, 연안 도서 등의 해양생태계를 연결하는 범위로 이뤄져 있다.

5대 핵심 해양생태축으로는 기존 한반도 생태축에 포함됐던 서해(서해안 연안습지 보전축), 남해(도서해양생태 보전축), 동해(동해안 해양생태 보전축) 지역의 해양생태축과 새롭게 추가된 ‘물범-상괭이 보전축’, ‘기후변화 관찰축’이 해당된다.

물범-상괭이 보전축은 해양보호생물의 주요 이동로를 보전하며, 기후변화 관찰축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설정됐다.

기존의 해양생태계 관련 정책이 개별적인 서식지나 생물종 보호 등의 국소적인 범위로 제한적이었지만, 생태축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생태축을 점, 선, 면 단위로 관리하는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우리 주변의 생태통로

울산 태화강에 설치된 어도의 모습 /사진=임규리 학생기자
울산 태화강에 설치된 어도의 모습 /사진=임규리 학생기자

생태통로는 로드킬을 예방하고, 고립되고 파편화된 서식지를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에 처음으로 생태통로를 도입하고, 1998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생태통로를 설치하게 됐다. 

한국은 네덜란드, 프랑스, 미국 다음으로 세계에서 4번째로 생태통로가 많은 나라가 됐으며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고 있다.

도시 개발과 도로의 증가는 동물들이 특정 서식지에서 다른 서식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동물을 가두는 결과를 낳았다. 야생동물들이 이동하지 못하는 것은 동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해치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식물들의 씨앗 또한 이동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적인 건축물을 만들 때는 그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동물들이 어떤 변화를 겪을지 고려해봐야 한다. 개발은 인간의 삶을 더 편하게 만드는 데 필요한 것이지만, 야생동물들에게는 재앙과도 같은 일이다. 그렇기에 우리가 동물들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작은 일이라도 실천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과 동물이 모두 이동하는 방법으로써 생태통로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