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22일 ‘울진 산불 피해지역 복원 방향 및 산림일자리 창출’ 세미나 개최
울진군-환경일보 주최, 산림청 후원··· 지역 맞춤 기후변화 적응 방안 모색

‘기후위기 시대 울진 산불 피해지역 복원 방향 및 산림일자리 창출’ 세미나 안내문. 사진은 올해 3월 발생한 산불로 전소된 울진군 북면 일대 /자료제공=울진군
‘기후위기 시대 울진 산불 피해지역 복원 방향 및 산림일자리 창출’ 세미나 안내문. 사진은 올해 3월 발생한 산불로 전소된 울진군 북면 일대 /자료제공=울진군

[환경일보] 박선영 기자 = 울진군, 환경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하고 산림청이 후원하는 ‘기후위기 시대 울진 산불 피해지역 복원 방향 및 산림일자리 창출’ 세미나가 9월 22일(목) 오후 2시 경북 울진군 왕피천공원 내 문화관에서 개최된다.

우리나라는 연평균 432건의 산불이 발생해 670ha의 산림이 소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후변화 등의 원인으로 대형 산불이 자주 발생해 산불이 범국가적 재난으로 부각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산불은 주로 2월부터 5월에 집중 발생한다. 지난해 2월~5월 사이 산불로 인한 산림피해 면적은 707ha, 건수의 68%를 차지했다. 피해면적의 92%가 집중돼 있다. 월별 발생 건수는 4월이 94건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경북(74건), 강원(46건)에 산불피해가 집중되고 있다. 2월~5월 건조 특보 일수는 2015년 69일에서 2020년 73일까지 늘었다. 기후변화에 따라 강우가 특정 시기에 집중돼 봄철 가뭄 증가 및 강수량 부족으로 산불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올해 3월 울진, 강원 5개 시군 지역에서 2만523ha의 산림 피해를 발생시킨 산불은 지난 2000년 강원 동해안 산불 피해 면적을 넘어섰다.

이렇게 산불 피해 규모가 커진 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기후위기로 겨울 가뭄이 기승을 부리며 마를 대로 마른 낙엽과 풀이 불이 쉽게 붙을 수 있는 조건이 된 것으로 조사됐다.

남한의 1년치 강수량은 2021년 1244.5㎜로 2010년 1307㎜보다 63㎜ 감소한 반면 가뭄일수는 2000년 54.9일에서 63.1일로 증가했다.

울진, 강원 산간 지역에 지속된 가뭄은 산불 피해 규모를 키웠다.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울진, 강원 산간 지역에 지속된 가뭄은 산불 피해 규모를 키웠다.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산불 지역적 특성 파악, 예방·피해 최소화 모색

IPCC(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 발생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기온 증가 및 습도 감소 영향이 산불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세미나 관계자는 “산불의 지역적 특성 파악, 예방·피해 최소화, 산불피해지 복원, 산림일자리 창출 및 주민소득 증대 등을 통합 고려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고 기후위기 적응 모범사례지로서 울진군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목적으로 세미나를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세미나 주제발표와 토론에는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1부 세션에는 ‘기후위기 시대 울진 산불 피해지역 복원방향 및 산림일자리 창출’을 주제로 ▷‘울진 산불 피해지역 현황 및 주요 이슈’(박재용 울진군청 산림녹지과장) ▷‘과거 산불피해지 복원사례를 통해 본 울진 산불피해지 복원방향’(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 ▷‘산불 피해지역 산림일자리 창출을 위한 주요정책’(김용진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 산림일자리창업팀 팀장) 등 발표가 진행된다.

2부 패널토의에서는 김익수 환경일보 편집대표이사를 좌장으로 신지영 한국환경연구원 기후위기적응센터 센터장, 구자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편두희 울진국유림영림단 사회적협동조합 대표이사, 이인세 한국임업진흥원 산림일자리발전소 소장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토론이 펼쳐진다.

세미나에는 울진군청, 울진군의회, 관련 기관 및 단체 관계자, 주민, 언론사, 외부 초청 발제 및 토론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으로, 손병복 울진군수가 개회사를, 박형수 국회의원과 임승필 울진군의회 의장이 축사를 전한다. 세미나 둘째 날에는 산불피해 현장 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세미나 주최 측은 “기후위기로 막대한 재산 및 인명 피해가 이어지고 있고 기후변화 대응과 더불어 적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고 전했다.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의한 자발적 기여(INDC) 종합보고서에서도 119개 당사국 중 100개의 당사국이 기후변화 적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감축은 국제적 공동노력이 필요한 반면, 적응은 피해를 받는 지역 당사자들의 노력이 필요해 지역 차원에서 반드시 수립해야 하는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8조 및 동법 시행령 제38조를 제정해 기초지자체까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은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는 지역 차원의 법정계획이다. 기후변화 영향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5년 단위로 마련된다.

2000년 대형 산불을 경험한 강원도는 지형, 수자원, 산림, 동식물 등의 지역 현황 및 특성을 고려한 강원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을 2012년에 마련했다.

경상북도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에서 산불에 대한 경북의 취약성 평가 시 주요 인자를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으로 나눠 분석했다. 기후노출의 경우 연속적인 무강수일수의 최대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21세기 후반이 되면 무강수일수 최대값은 감소하지만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횟수와 일최대풍속이 14m/s 이상인 날의 횟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산림청은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에서 산불 등의 산림재해 발생에 따른 광역산림모니터링체계 마련 필요에 따라 2025년까지 산림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산림경영·재해 대응 및 신기후 탄소관리 등에 대해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쳬계를 마련할 것을 밝힌 바 있다.

세미나 관계자는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대형산불, 산사태, 집중호우 등 예측하기 힘든 자연 재난이 반복해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 지역의 복원력을 강화하는 맞춤형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