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과학기자대회 개최, ‘편향적 언론보도 개선책 필요’ 문제 공감
100년 빈도 폭우 불가피··· 과거형 방재시스템 탈피, 산림복원력 강조

12일 열린 '2022 과학기자대회'에 참석한 패널들이 
12일 열린 '2022 과학기자대회'에 참석한 패널들은 ‘기후위기 시대, 재난과의 전쟁’을 놓고 토론했다. /사진=최용구 기자  

[한국과학기술회관=환경일보] 최용구 기자 = 이상고온과 폭우, 산불 등 기후재난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점차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12일 열린 2022 과학기자대회에선 언론보도 행태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메시지가 나왔다. 

이날 ‘기후위기 시대, 재난과의 전쟁’이란 주제의 토론에 패널로 나온 이근영 한겨레신문 기자는 “호우특보 등 기상 상황을 전달하는 보도들이 지역 편파적”이라며 “재난 대비책 마련에 지역성을 최우선 고려해야 하는 것처럼 언론보도에서도 지역적 편향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혜윤 YTN 기자는 “나 또한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반성한다”며 이에 공감했다. 

박상욱 JTBC 기자는 “한바탕 폭우 뒤 푸른 하늘이 찾아오면 머릿속에 있던 위기의식도 함께 사라지고 만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대한 각종 재난과 재해에 대비하기 위해선 평화로운 지금 이 순간에 관심과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정부와 함께 언론이 그래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병식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교수는 “언론인들이 기사를 쓰는 과정에서 ‘100년 빈도의 홍수와 100년 빈도의 강우가 왜 작년에도 오고 올해도 또 오냐’라는 의문을 제기하곤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래의 극한값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을 받아들이고 과거의 패턴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100년 빈도의 강우를 100년에 한 번이 아닌, 1년 중에 이런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1%라는 식으로 이해해야 한다. 즉 작년에 와도 또 올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토론장의 학계 관계자들은 이상기후에 따른 극한 강우의 빈발, 산불과 산사태 등 산림재난의 ‘연중화’ 및 ‘대형화’ 현상에 경각심을 가지자고 입을 모았다. 한상은 기상청 총괄예보관은 “집중호우의 패턴들이 과거에 경험해 보지 못한 패턴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심각성을 더했다.  

“파리협약 지켜도 한반도 이상기후는 지속” 

다만 이 같은 패턴의 변화에도 방재 시설물 관련 설계와 평가에 적용되는 수치적 요소는 과거에 머무르고 있다는 게 문제로 언급됐다. 

김병식 교수는 “과거의 평균과 분산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정상성은 이제 죽었다. 비정상성을 반영한 기후변화 적응형의 설계책이 나와야 한다”라면서도 “당장 설계수문량을 높이는 등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지만 하기 힘들다. 정부 당국은 경제적 관점에서 꼭 해야 하나를 두고 고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장은 숲 관리를 우려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산림녹화에는 성공했지만 그만큼 탈연료 물질이 많아진 셈”이라면서 “산불의 연료가 되는 숲을 적절히 가꿔야 대형 산불로 번지는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은 온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됐다. 토론장이 마련된 한국과학기술회관에는 패널을 포함해 100여명이 참석했다.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혁명 대비 1.5℃ 이상 오르는 것을 막자고 약속한 2015년 파리협약이 재차 회자됐으며, 지구온난화에 따라 이른 더위와 폭우 등의 발생가능성은 커졌다는 과학적 근거들이 나열됐다.

산불로 인해 한 달 동안 약 14억톤의 온실가스가 퍼져나갔다는 GFAS(Global Fire Assimilation System) 통계도 제시됐다. 툰드라 등 북부 한랭지역에 생겨난 화재로 온도가 오르고 습도는 떨어져 빙하가 녹고 있다는 관측 자료가 공유되기도 했다. 체르노빌 원전 주변 산불이 땅속 내 방사성물질을 대기 중으로 방출시킨 극단적 사례도 언급됐다. 

민승기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는 “파리협약 목표 온도를 달성하더라도 한반도 등 동아시아 지역의 이상고온과 극한강수는 증가하고 여름 계절은 확장될 것”이라는 전망을 냈다. 

김병식 교수는 “이대로 가면 언제 발생할지 모를 100년 빈도 강우에 또다시 잠길 수 있다”면서 “도시관리 주체가 많다. 도로는 국토교통부, 물관리는 환경부, 재난은 행정안전부로 칸이 나뉘어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